세계일보

검색

검역 감염병 2027년까지 20개로 확대

입력 : 2023-05-22 19:49:51 수정 : 2023-05-22 19:49:5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질병청, 제1차 검역관리 기본계획

뎅기열·홍역 등 유입 감시 강화
2023년 ‘자동검역심사대’ 시범 도입도

정부가 메르스와 에볼라 등 현행 11종인 검역 대상 감염병을 2027년까지 뎅기열, 홍역 등 20여종으로 확대한다. 정부는 또 연내 해외 입국자 대상 검역 챗봇을 개발하는 등 앞으로 공항만에서의 해외 발생 감염병의 국내 유입 감시 및 조기 인지, 신속 대응 체계를 갖춰나가기로 했다.

질병관리청은 22일 이 같은 내용의 ‘제1차 검역관리 기본계획(2023∼2027년)’을 확정, 발표했다. 일평균 입국자는 2021년 9486명에서 올해 7만9391명으로 크게 늘고, 운송 수단도 같은 기간 361개에서 646개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내외 주요 감염병에 대한 방역망을 촘촘하게 구축하겠다는 게 기본계획의 골자다.

지난 18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입국장의 모습. 뉴스1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검역 대상 감염병을 현행 11개에서 단계적으로 20여종까지 확대한다. 또 공항과 항만 검역 구역 내 하수 검사를 통해 감염병 발생 감시 및 조기 인지, 신속 대응에 나선다.

지난해 3월 공항 등에 시범 도입된 ‘검역정보사전입력시스템(Q-CODE·큐코드)’을 항만까지 확대하고, 올해 하반기 QR코드를 스캔하면 자동으로 증상을 확인한 후 개폐까지 연계하는 ‘자동검역심사대’를 시범 운영한다는 내용도 이번 기본계획에 포함돼 있다.

해외 주요국의 감염병 대응책을 참고해 항공기·선박 등 운송 수단 및 화물에 대한 보건 위생 상태 관리 및 확진자 발생 시 신고·응급 조치, 귀국 지원 매뉴얼 고도화 등 대응 역량을 지속 보완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1차 기본계획 수립을 계기로 향후 5년간 안전한 건강 사회 구현을 위한 정책을 지속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송민섭 선임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고마츠 나나 '눈부신 등장'
  • 고마츠 나나 '눈부신 등장'
  • 프로미스나인 이새롬 '반가운 손인사'
  • 차예련 '하트도 우아하게'
  • (여자)아이들 미연 '사랑스러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