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KF-21 능동전자주사(AESA)레이더가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아 양산 절차를 눈앞에 두고 있다.
19일 한화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16일 KF-21가 최초 양산을 위한 주요 절차인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으면서 AESA레이더도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획득했다.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은 개발에서 양산까지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무기체계를 신속하게 전력화하기 위해 체계개발과 양산을 동시에 추진하기 위한 절차다.
방위사업청은 KF-21 최초 양산을 곧 시작해 2026년 최종 전투용 적합 판정을 획득, 2026년 하반기부터 공군에 인도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ADD가 주관하고 한화시스템이 시제업체로 참여해 개발한 AESA 레이더는 다수의 공중·지상·해상 표적에 대한 탐지 및 추적, 영상 형성, 근접 교전 수행 지원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는 미래 전투기의 핵심 장비다.
한화시스템은 하드웨어 입증시제를 통한 성능 검증, 시제기 탑재 전 시험항공기 비행시험을 수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KF-21 시제기에 레이더를 탑재, 지난 4월 추가 비행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박혁 한화시스템 감시정찰부문 사업대표는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으로 한화시스템은 1호 국산전투기에 탑재할 최초의 AESA레이더를 본격 양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라며 “FA-50를 비롯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전투기의 해외 기계식 레이다를 향후 국산으로 대체할 가능성과 더불어 해외 시장 판로를 개척할 기회”라고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