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다문화청소년, 일반 청소년에 비해 진로 성숙도 낮아”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05-18 11:18:56 수정 : 2023-05-18 11:18:52
이민경 기자 mi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계획성, 진로탐색 능력 등 다문화청소년의 진로 성숙도가 국내에서 태어난 일반청소년에 비해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최근 5년간 다문화청소년 비중이 증가했음에도 이들을 위한 정책적 지원은 미비해 전문기관 및 전문가 육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18일 ‘다문화청소년의 자립기술 및 진로성숙도 수준’에 관한 보고서를 내고 다문화청소년의 자립기술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17∼24세 다문화청소년 238명을 대상으로 2022년 7월8일부터 9월2일까지 진행됐다.

조사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성숙도는 일반 청소년과 비교했을 때 낮은 편이었다. 특히 ‘진로탐색 및 준비 행동’ 영역(12점 만점)에선 국내 출생 일반 청소년이 5.26점, 다문화청소년이 4.61점으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계획성‘, ‘독립성’, ‘자기 이해’ 등 다양한 세부항목에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한편 다문화청소년은 자신의 ‘자립 기술’ 수준을 높게 보는 것으로 드러났다. 자립 기술이란 일상생활기술·의식주 관리 등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등의 기술을 뜻한다. 이들의 자립 기술 수준은 평균 3.24점(중간값 2.50점 기준)으로 조사됐는데, 구체적으로 ‘자기 보호 기술’(3.38점), ‘지역사회 자원 활용 기술’(3.33점), ‘일상생활 기술’(3.29점) 등의 순으로 높았다. ‘진로탐색 기술’은 2.99점으로 가장 낮았다.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기술 수준은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 실력과도 연관이 있었다. 보고서는 외국인 부모의 한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다문화청소년의 자립 기술 수준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희망 진로로 ‘IT 전문가’(7.6%)를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뒤를 ‘교사’와 ‘회사원’(각각 7.1%)이 이었다. 응답자의 5.5%는 희망직업이 없거나 아직 정하지 않았다고 답했지만 나머지 94.5%는 53가지 다른 직업을 언급하는 등 희망하는 직업의 종류가 매우 다양했다.

 

진로·적성 관련 대화를 가장 많이 나누는 대상으론 87.9%가 친구나 선배라고 답했다. 학교선생님(60.5%), 시설 선생님(22.9%), 상담전문가(22.9%) 등의 순이었다. 다문화청소년 67.6%는 진로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기도 했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다문화가정 구성원 전반에 걸쳐 한국어 교육 지원과 진로 및 직업교육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며 “이들의 자립 및 진로 관련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전담 기관 및 전문가 육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오피니언

포토

송해나 '심쿵'
  • 송해나 '심쿵'
  • 투어스 신유 '부드러운 미소'
  • '컴백 D-1' 화사
  • 정소민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