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3%대 은행 주담대 나왔다...1년 만에 등장

입력 : 2023-02-06 14:46:14 수정 : 2023-02-06 21:58:32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5대 시중은행 최저 대출 금리도 곧 3%대로 떨어질 전망
연합뉴스

 

최근 국내외 통화 긴축 완화에 대한 기대로 시장(채권)금리가 떨어진데다 은행들의 자진 가산금리 축소까지 더해져 은행권 대출금리 하단이 3%대까지 내려왔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 고정금리형 혼합금리 상품의 금리는 이날 연 3.98∼4.98%로 낮아졌다.

 

우대금리 등을 적용받은 최저금리가 3%대에 진입했는데, 케이뱅크 해당 상품의 3%대 금리는 지난해 2월 이후 약 1년 만이다.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 혼합금리(연 4.058∼5.059%)도 3%대를 눈앞에 뒀다. 인터넷은행 뿐 아니라 5대 시중은행의 최저 대출 금리도 곧 3%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이날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는 연 4.080∼6.570% 수준이다.

 

한 달 전인 1월 6일(연 4.820∼7.240%)과 비교해 하단이 0.740%포인트(p)나 급락했다. 이처럼 주택담보대출 고정금리가 빠르게 떨어지는 것은 우선 지표금리인 은행채 5년물 금리가 같은 기간 0.638%포인트(4.527%→3.889%) 낮아졌기 때문이다.

 

여기에 예대금리차 확대 등에 대한 당국과 여론의 비난에 은행들이 스스로 가산금리 등을 줄이면서, 은행의 실제 고정금리 낙폭(-0.740%포인트)은 지표금리(-638%포인트)보다 더 크다.

 

현재 KB국민은행의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가 4.080%로 5대 은행 가운데 가장 낮은데, 만약 이번 주 채권 금리가 더 떨어지면 다음 주 초에는 5대 은행에서도 3%대 금리가 부활할 것으로 예상된다.

 

5대 은행에서 3%대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해 7월 이후 약 7개월 만이다.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역시 지난달 6일 연 5.080∼8.110%에서 이날 연 4.860∼6.890%로 낮아진 상태다.

 

변동금리의 지표인 코픽스(COFIX)는 같은 기간 불과 0.050%포인트밖에 안 떨어졌는데, 변동금리 상단은 지표의 24배가 넘는 1.220%포인트나 추락했다. 역시 당국·여론 등의 '공공재' 압박에 따른 은행들의 자진 가산금리 인하에 따른 결과로 해석된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
  • 김태희 ‘눈부신 미모’
  • 임윤아 '반가운 손인사'
  • 손예진 '우아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