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에 전 꼭 안 부쳐도 됩니다”… 성균관, 차례상 간소화 방안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3-01-20 10:00:00 수정 : 2023-01-20 08:52:05
이강은 기자 kelee@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떡국, 나물, 구이, 김치, 술(잔), 과일 4종 정도면 됩니다.”

 

가족 간 갈등 없는 설 문화 정착에 힘쓰고 있는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가 지난해 추석 때처럼 설을 앞두고 차례상 간소화 방안을 제시했다. 불필요하게 많은 차례 음식이 준비하는 과정에서 명절 스트레스가 되고 가족 간 불화 요인이 된다는 점을 우려해서다.

설 차례 간소화 진설도.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가 지난 16일 발표한 ‘함께하는 설 차례 간소화’ 방안에 따르면, 송편 대신 떡국을 설 차례상에 올리는 것만 빼고는 진설하는 음식의 가짓수와 위치가 지난해 발표된 추석 차례상 진설도와 같다.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 위원장인 최영갑 성균관유도회총본부 회장은 “아직도 많은 분이 차례와 제례를 혼동하는 것 같아 다시 말씀을 드린다”며 “성균관은 궁극적으로 가정불화나 남녀 갈등, 노소갈등이 없는 행복한 전통문화를 계승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차례는 설날과 추석 같은 명절에 지내는 것이고, 기제는 조상·부모의 돌아가신 날에 지낸다. 차례는 송편, 떡국 등 명절 음식을 중심으로 올리고, 시제와 기제에는 밥과 국을 올린다. 차례는 약식이므로 한 번만 술을 올리고 축문을 읽지 않는다. 반면 시제와 기제는 반드시 세 번 술을 올리고 축문을 읽는다. 차례는 사당이 없는 일반 가정에서는 지방을 모시고 제사를 지냈으나, 사진을 두고 제사를 지내도 괜찮다.  과일의 경우 4~6가지를 놓으면 된다.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은 차례상에 꼭 올리지 않아도 된다. 전을 부치느라 고생하는 일은 그만 둬도 된다는 것이다. 

 

성균관은 ‘홍동백서(紅東白西·제사상에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일)’나 ‘조율이시(棗栗梨枾·대추·밤·배·감)’는 예법을 다룬 문헌에 없는 표현이라고 선을 그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성균관 관계자는 “지난해 추석 차례상 간소화를 제안할 때 보여준 차례상에 밤, 사과, 배, 감이 있었는데 이는 예시일 뿐 특정 과일을 준비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차례상에 이것도 올려도 됩니까, 저것도 올려도 됩니까’ 혹은 ‘전을 좋아하는데 왜 하지 말라고 하느냐’는 질문이 나온다”며 “과일의 가짓수나 종류, 전을 포함해 간소화를 기준으로 가족과 상의해서 좋아하는 것은 얼마든지 할 수 있다. 가족 간 갈등을 없애는 것이 저희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어 종교 문제로 제사 갈등이 생기는 것에 대해서는 “집안 문제라서우리가 이렇다 저렇다 말씀을 드릴 수 없다”면서도 “거의 모든 종교에서 나름대로 조상을 숭배하는 의식을 진행하고 있으니 가정환경에 따라서 논의해 진행하면 될 것”이라고 답했다. 

 

성균관이 이번에 제안한 것은 명절 약식 제사인 차례에 관한 것이며 정식 제사를 어떻게 할지는 유림과 국민 의견을 묻고 연구해 오는 9월쯤 발표할 예정이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