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 신자유연대 상대로 접근금지 신청

“정치 발언 그만하고 물러나라!”
올해 마지막 이태원 참사 시민추모제가 3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전쟁기념관 앞에서 열렸다. 49재가 치러진 지난 16일 첫 추모제에 이어 열린 두 번째 추모제에서도 보수단체의 방해가 이어졌다.
공식 추모제에 앞서 오후 5시쯤 녹사평역에 시민분향소 앞에서 진행된 추모시 낭독회. 그러나 낭독 중 분향소 바로 맞은편에서 맞불집회를 연 신자유연대 회원들의 확성기 소음 등으로 낭독회는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들은 낭독 중간중간 ‘정치 발언 그만둬라’ 등의 구호를 외치며 방해를 일삼았다.
이들의 방해는 이날 추모행사가 진행되기 이전부터 이어졌다. “시끄럽다”며 “그만 좀 하라”는 한 시민의 항의에도 아랑곳하지 않은 채 발언을 이어갔다.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한 관계자는 “시민들이 추모를 위해 오시다가도 극우단체의 시끄러운 확성기 소리와 이들을 막고 있는 많은 경찰 병력 때문에 발걸음을 돌리는 경우가 있다”며 “근처 반대 현수막도 최근 들어 더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분향소가 위치한 녹사평역 인근에는 도로를 따라 보수단체가 내건 현수막들이 줄지어 걸려있었다. ‘국민들에게 더 이상 슬픔을 강요하지 말라’, ‘세월호 팔아 집권한 문재인 민주당, 제도정비 안 하고 뭐 했나’ 등의 문구가 담겼다.
이들은 앞서 지난주에도 전임 정권 때 발생한 사망 사건사고를 언급하는 10여개의 현수막을 걸기도 했다. 흰 배경의 현수막에는 근조 표시와 함께 ‘문재인 정권 때 OO사고 사망하신 분들을 추모합니다’라는 내용이 적혔다.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밀양 세종병원 화재 사고 등 모두 문재인 정부 시절 발생한 14건의 사건사고들이다. 해당 현수막은 실제 사건 희생자 유가족들과 협의 없이 붙인 것으로 전해졌다.

보수단체의 지속적인 분향소 운영 방해와 늘어나는 현수막에 결국 이태원 희생자 유족은 이들을 막아달라고 법원에 요청했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협의회는 전날 보수단체 신자유연대와 이 단체의 김상진 대표를 상대로 서울서부지법에 분향소 접근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이와 함께 분향소 운영방해 금지와 방해물 제거 등도 법원에 요청했다.
한편 유가족 반발에 신자유연대는 지난 21일 이종철 유가족협의회장을 명예 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소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고소장에서 “이 협회장이 신자유연대가 분향소 설치를 방해하고 유가족을 위협한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했다”고 주장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