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내 성인 70% 이상,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중 하나 이상 해당”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12-22 11:04:16 수정 : 2023-01-03 20:05:31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충남대 한인화 교수팀, 성인 4365명의 대사증후군 유병률·특성 분석 결과 “고혈압, 5가지 기준 중 가장 많이 나타나. 높은 혈당도 다수”
“대사증후군으로 당뇨병·심혈관 질환 등 악화 가능성… 철저히 관리해야” 주문
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7명 이상이 대사증후군의 5가지 진단 기준 가운데 적어도 하나 이상을 보유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사증후군을 가진 사람들이 가장 많이 나타낸 증상은 ‘고혈압’이었고, 고혈압과 높은 혈당을 함께 가진 사람도 많았다. 

 

연구팀은 대사증후군은 당뇨병·심혈관질환 등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22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충남대 식품영양학과 한인화 교수팀은 ‘제8기 1차 연도(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한 건강행태 및 비만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분포 연구’라는 논문에서 이 같이 밝혔다.

 

대사증후군은 허리둘레(남자 90㎝, 여자 85㎝ 이상), 혈압(수축기 130/이완기 85㎜Hg 이상), 공복혈당(100㎎/dL 이상), 고밀도 콜레스테롤(남자 40㎎/dL, 여자 50㎎/dL 미만), 중성지방(150㎎/dL 이상) 중 정상 범위를 벗어난 항목이 3개 이상일 때를 말한다.

 

연구팀은 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4365명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특성 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대사증후군의 5가지 진단 기준인 복부 비만·고혈압·높은 혈당·낮은 HDL-콜레스테롤·고 중성지방 수치가 모두 정상이면 ‘정상 그룹’, 1~2개를 갖고 있으면 ‘대사증후군 주의 그룹’, 3개 이상 보유하면 ‘대사증후군 그룹’ 등으로 나눴다. 

 

전체 연구 대상자의 27%(1177명)가 ‘정상’, 38%(1671명)가 ‘대사증후군 주의’, 35%(1517명)가 ‘대사증후군’으로 판정됐다.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진단 기준을 1가지 이상 가진 사람의 비율이 73%에 달했다. ‘대사증후군 주의 그룹’에서 한 가지 증상을 가진 사람은 성인의 21%(915명)였다. 이들이 가장 많이 나타낸 한 가지 증상은 고혈압이었다. 

 

2가지 증상을 보유한 사람의 비율도 17%였다. 특히 고혈압과 높은 혈당을 함께 가진 사람이 많았다. 

 

과체중·비만은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높였다. 과체중 남성은 정상 체중 남성보다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4배였다. 

 

또한 낮은 소득과 학력도 대사증후군의 비율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아침 식사와 외식 빈도 모두 주당 4회 이하이면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하루 20개비 이상 흡연하는 사람의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남성이 월 5회 이상 음주하면 대사증후군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대사증후군의 발생은 인슐린 저항성과 비만, 가족력·학력 등 사회·경제적 요인, 운동·흡연·음주 등 생활습관과 관련이 있다”며 “대사증후군은 당뇨병·심혈관질환 등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