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30년까지 직류·교류 하이브리드 배전망 깐다

관련이슈 환경팀

입력 : 2022-12-12 11:31:01 수정 : 2022-12-12 11:31:00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교류(AC) 중심의 우리나라 배전 전력망이 2030년 직류(DC)와 같이 쓸 수 있는 AC/DC 혼용배전망으로 구축된다.

태양광 패널. 픽사베이

산업통상자원부는 12일 ‘차세대 AC/DC 하이브리드 배전 네트워크 기술개발 사업’ 제1차 운영위원회를 열고, 미래형 배전망 기술개발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기존 AC 중심의 배전망에 ‘중간전압의 직류’(MVDC) 선로를 병행해 연계하는 사업으로 2030년 구축 완료를 목표로 7년 간 1905억원을 지원한다. 

 

교류는 전기가 발전소에서 변전소, 변전소에서 주택가, 주택가에서 주상변압기로 올 때마다 변압기로 전압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사고가 발생했을 때 전기를 차단하는 것도 상대적으로 쉽다. 그러나 가정 내 전자제품 중에는 직류전기를 쓰는 게 많아 교류 전기를 직류로 변환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발생한다.

 

MVDC는 직류 가운데 중간전압(1.5∼100㎸) 사이의 전송용량을 갖는 시스템을 말한다.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중에는 직류발전을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태양광이 생산한 전기는 직류 설비를 이용하는 게 효율적이지만, 교류 중심의 기존 배전망에선 어쩔 수 없이 변환해 이용해야 했다. 또 배전망이 흘려보낼 수 있는 전력량에는 한계가 있는데 최근 몇 년 간 태양광 설비가 급속히 늘면서 태양광을 설치해놓고도 전력망에 연력하지 못하는 접속 대기가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다. 

 

MVDC 기술을 활용하면 기존 배전망을 그대로 유지한 채 배전 선로 용량을 늘릴 수 있다. 산업부는 AC/DC 혼용 배전망이 구축되면 재생에너지 연계 용량이 60% 늘어나고, 선로 최대 허용 부하율도 30%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 전력변환 손실은 10% 줄일 수 있다. 

 

MVDC 배전은 세계적으로 초기 시장 단계여서 기술력을 조기에 확보하면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현재 우리나라 전력계통은 직류·분산형 전원인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라 기존 전력망 계획과 운영방식에 변화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미래형 배전망 기술개발이 돌파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박보영 동안 미모 과시…상 들고 찰칵
  • 41세 유인영 세월 비껴간 미모…미소 활짝
  • 나나 매혹적 눈빛…모델 비율에 깜짝
  • 비비업 킴 '신비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