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붕괴 신호 뚜렷하게 나타나는 중
기후 재정 수요 높지만 자금 유입 충분치 못해”

6일(현지시간) 이집트 샤름엘셰이크에서 제27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7)가 개막한 가운데 WWF(세계자연기금)는 국제사회가 ‘약속’에서 ‘행동’으로 분명하고 결정적인 전환을 이뤄야 한다고 촉구했다.
폐루 환경부 장관과 COP20 의장을 역임한 마누엘 풀가비달 WWF 기후에너지 글로벌 총괄은 “기후붕괴의 신호는 이미 전 세계에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삶과 생계를 황폐화하고 생물다양성 손실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며 “인류 사회와 생태계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시간이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기후 금융이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그는 “각 국가가 약속한 것과 배출량 감소, 탄력성 구축, 저소득 국가 지원 등 실제 필요한 비용 사이에 커다란 격차가 있다”며 “각국이 기후 재앙에 적응하도록 하는 재정 지원의 수요가 커지고 있지만 자금 유입이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WWF는 COP27에서 기후변화 적응과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에 대한 획기적인 합의안 마련을 촉구했다. 이날 ‘손실과 피해’는 COP27에서 정식 의제로 채택됐다. ‘손실과 피해’는 역사적으로 온실가스 배출 책임이 큰 선진국이 기후변화로 고통받는 개발도상국를 어떻게 지원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다. 올 여름 대홍수로 큰 피해를 겪은 파키스탄이 COP27에서 100여개 개발도상국을 대표해 선진국에 ‘손실과 피해’에 대한 보상을 촉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 WWF는 COP27에서 ‘자연’의 역할이 부각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기후변화와 함께 ‘자연 파괴’가 상호 연관된 문제로 다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WWF는 오는 12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리는 제15차 유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COP15)에 앞서 기후 행동에 ‘자연기반 해법’을 포함해 추진력을 높일 것을 각국 정부에 촉구했다. 자연기반 해법은 생태 기능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뜻하며, 기후문제 해결을 위해선 산림 복원과 수목 식재 등이 그 대표적 예로 거론된다.
홍윤희 WWF 한국본부 사무총장은 “기후 행동이 선언적 행위에 그치지 않고 실행이 뒷받침될 수 있도록, 한국을 비롯한 역량과 책임이 있는 국가들이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며 “특히 1.5도 목표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간 격차 해소, 각국의 NDC 이행 성과 점검 등의 적극적인 이행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