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습·세미나 개최 기록 없어
서울대 “공동연구, 팀 티칭 등 다양한 활동”
서울대에 초빙·객원 교수로 임용된 인사 절반 가까이가 교육·연구 실적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18일 드러났다. 서울대가 교육·연구보다는 인적 네트워크를 위한 ‘타이틀’을 남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의원실이 2018년부터 올해까지 서울대가 임용한 초빙교수와 객원교수의 학기별 강의, 연구활동, 세미나 개최 실적을 전수조사한 결과, 584명 중 258명(44%)은 관련 기록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기관별로 살펴보면 AI연구원은 임용된 초빙·객원 교수 2명(100%)이 모두 교육·연구 활동이 없었다. 수의과대학은 12명 임용됐는데 11명(91.67%), 농업생명과학대학은 임용된 7명 중 6명(85.71%)의 교육·연구 활동이 전무했다. 가장 많은 초빙·객원 교수를 보유한 공과대학에선 임용된 148명 중 82명(55.41%)의 교육·연구 활동을 찾아볼 수 없었다. 이들은 초빙 당시 활용계획서에 작성했던 강의나 특강을 진행하지 않았다.
초빙·객원 교수는 주로 국가기관이나 공공기관, 산업체와 전문직종 분야에서 풍부한 실무경험과 학문업적을 갖춘 사람을 임용한다. 서울대 규정에 따르면 초빙·객원 교원 임용 심사 시 소속예정 단과대학이 총장에게 활용계획서를 제출하고, 교원은 강의·실습·세미나·연구와 같은 구체적인 임무를 하도록 돼 있다. 초빙교원은 정액의 보수를 지급받고, 객원교원은 경비 및 수당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최근 5년간 절반 가까운 초빙·객원 교수가 강의나 연구, 세미나 대신 서울대 ‘명함’만 얻어 간 셈이다. 이 같은 지적에 서울대 측은 “비전임교원은 강의뿐 아니라 공동연구와 팀 티칭, 특강, 학술행사 등 다양한 교육 연구활동을 맡고 있다”고 해명했다.
서 의원은 “약속한 강의를 하지 않는 것도 문제지만, 임용계약을 성실히 이행하지 않는 교원들에게 아무런 제재조치가 없는 것은 애초부터 서울대가 교육·연구보다는 고위공직자나 기업 임원 출신들을 인적 네트워크로 활용하기 위해 초빙·객원 교원 임명을 남발해온 것 아니냐”며 “초빙·객원 교수의 정규강의가 늘고 학생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실태 점검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