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건강권 보장 등 문제 제기
수리·이전 놓고 대안 마련 나서
9월 말 최종 운영안 결정 방침
오랜 기간 혐오시설로 자리 잡은 대규모 소각장(자원회수시설)의 운명이 시민의 숙의 토론을 거쳐 결정된다.
19일 경기 수원시는 20여년간 이웃 주민에게 불편을 끼쳐온 영통소각장을 일정 기간 고쳐 쓸지, 다른 곳으로 이전할지를 두고 토론을 벌여 최적의 대안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이달 24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무작위로 선발한 시민 200명이 참여하는 ‘시민 숙의단’ 토론을 진행한다. 10명씩 나눠 자원회수시설을 합리적으로 운영할 방안을 논의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방식이다.

의제는 △자원회수시설의 필요성과 문제점 △합리적 운영 방향과 단기대책 △주민 수용성 제고를 위한 제안 등이다. 현장 토론은 시 유튜브 채널에서 실시간으로 중계된다.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있는 영통소각장은 2000년 가동을 시작한 대표적인 지역 폐기물 처리시설이다. 하루 처리용량은 600t으로 2025년 말까지 1487억원 규모의 대보수 작업을 완료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웃 주민의 건강권 보장 등 문제가 제기되면서 소각장 이전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결국 지난 6·1 지방선거 당시 이재준 수원시장 후보가 영통소각장에 관한 시민 의견 수렴을 약속했고, 당선 직후 대보수 작업을 전면 중단한 채 여론 수렴을 준비해왔다. 시는 숙의 토론에서 개진된 시민 목소리를 토대로 이달 말 해당 시설의 최종 운영안을 결정하기로 했다.
시민 의견이 소각장 이전 쪽으로 기울어 가동이 중단되면 새 시설을 마련할 때까지 종량제 봉투를 압축해 수도권매립지에 보내야 한다. 시는 공정한 토론을 위해 지난달 24일부터 이달 2일까지 참여 시민들을 시 홈페이지 등을 통해 모집했다. 구별 인구에 맞춰 200명을 선정하되 해당 시설 주변인 영통 1∼3동, 원천동 주민의 경우 참여 비율을 높였다. 또 지역 정치인과 시 산하 자원회수시설 민관 태스크포스(TF)팀 위원들이 토론 절차를 설계했다.
이번 숙의 토론회에 앞서 지난 17일에는 온라인 예비토론회가 열려 전문가, 시 공무원 등의 발표와 패널 토론, 시민 질의에 대한 답변 등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자원회수시설의 필요성과 주민 수용성’을 주제로 발표한 조성배 공생기반연구소장은 “쓰레기로 인한 갈등을 해결하려면 자원회수시설 자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제대로 된 주민 참여와 신뢰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패널 토론에선 이재남 영통소각장 주민소송모임 대표가 “영통소각장 이전 문제 해결에 속도를 내달라”고 요청했다.
시는 숙의 토론 현장에서 시민 의견이 이전 쪽으로 기울더라도 새 소각장 마련을 위한 후보지는 언급하지 않기로 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