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영산강서 7가지 분해효소 만드는 세균 발견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 환경팀

입력 : 2022-09-19 12:02:00 수정 : 2022-09-19 11:28:02

인쇄 메일 url 공유 - +

낙동강생물자원관, 담수원핵생물조사·발굴 연구 결과
영산강·섬진강서 미기록 세균 101종 발굴
이들 중 51종이 분해효소 생산

다당류 분해효소인 아밀라아제·풀루라나아제·셀룰라아제·자일란아제·커들란아제·아라비난아제,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

 

이는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최근 전남 장성군 황룡면 영산강 지류에서 발굴한 ‘미트수아리아 키도사니타비다’ 종 세균이 생산하는 분해효소 7종의 이름들이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이 2020년부터 올 상반기까지 진행한 ‘담수원핵생물조사·발굴 연구’에서 국내에 기록되지 않은 이 세균을 발견했다. 보통 세균들이 1∼2종 분해효소를 활성화하는 데 비해, 이는 7종이나 생산하기 때문에 건강기능식품이나 의약품 등 다양한 제품 원료로서의 가치가 높다는 평가다.

미트수아리아 키도사니타비다 균주의 전자현미경사진.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최근 전남 장성군 황룡면 영산강 지류에서 국내 미기록 미트수아리아 키도사니타비다 종 세균을 발굴했다. 환경부 제공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이 세균을 포함해 최근 영산강·섬진강에서 국내 미기록 세균 101종을 발굴했다고 19일 밝혔다.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유익한 세균의 산업적 가치 등을 고려해 2015∼2019년 한강과 낙동강 금강 권역 대상으로도 담수원핵생물조사·발굴 연구를 진행한 바 있다. 

 

이번에는 영산강에서 세균 42종, 섬진강에서 59종을 찾았다. 이들 미기록 세균 총 101종 중 51종이 적게는 하나에서 많게는 일곱 종류의 다당류·단백질 분해 효소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철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미생물연구실장은 “화학 촉매를 대체하는 효소산업이 성장 중이나, 아직 80% 이상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산업적 가치가 높은 고유 담수세균이 식품과 의약품 효소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