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서울 빗물터널’ 강남역·광화문·도림천 우선 설치

입력 : 2022-09-13 06:00:00 수정 : 2022-09-13 01:31:08
구윤모 기자 iamkym@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집중호우 때 피해 컸던 3곳부터
2027년까지 총 9000억 들여 확충
방재성능 시간당 최대 110㎜ 규모
사당·강동·용산은 2032년까지

서울시가 집중호우에 대비하기 위한 침수취약지역 ‘대심도 빗물배수시설’ 설치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강남역과 광화문, 도림천에 우선 설치하며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정했다.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이 설치되면 강남역 일대는 시간당 최대 110㎜, 광화문·도림천 일대는 100㎜ 이상의 폭우를 견딜 수 있게 된다.

서울시는 12일 대심도 빗물배수시설 사업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2011년 우면산 일대에 내린 폭우로 당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설치를 추진했던 사업이 11년 만에 재개되는 것이다.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은 지하 40~50m 아래에 큰 터널을 만들어 폭우 시 빗물을 보관하고 하천으로 방류하는 시설이다. 오 시장은 수도권 집중호우로 큰 수해가 났던 지난달 10일 △강남역 △광화문 △도림천 △동작구 사당동 △강동구 △용산구 일대 등 침수취약 6개소에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시의 방재성능을 현재 30년 빈도(시간당 최대 95㎜ 처리)에서 50~100년 빈도(시간당 최대 110㎜ 처리)로 상향하는 것이 목표다.

집중호우 당시 침수피해가 컸던 강남역·광화문·도림천 일대 3개소부터 사업을 추진한다. 강남역은 주변보다 10m 이상 낮은 지형으로 인해 폭우가 오면 이 일대로 빗물이 모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시는 강남역~한강 구간에 길이 3.1㎞, 시간당 110㎜ 이상의 폭우를 견디는 규모로 대심도 빗물배수시설 설치를 추진한다. 광화문 일대는 인근 인왕산과 북악산을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집중되는 지역이다. 시는 종로구 효자동~청계천 구간에 길이 3.2㎞, 시간당 100㎜ 이상의 빗물을 처리하는 규모로 설치를 검토한다. 도림천은 다른 하천에 비해 폭이 좁아 비가 오면 수위가 빠르게 차고, 인근 관악산의 경사가 가팔라 빗물이 금방 흘러 내려오는 특징이 있다. 시는 동작구 신대방역~여의도 구간에 길이 5.2㎞, 시간당 100㎜ 이상의 빗물을 처리하는 규모로 설치할 계획을 세웠다. 사업비는 강남역 일대 3500억원, 광화문 일대 2500억원, 도림천 일대 3000억원으로, 국비와 시비를 합쳐 5년간 총 9000억원이 투입된다.

시는 대심도 빗물배수시설이 설치되면 이 일대 침수피해가 최소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실제로 ‘신월빗물저류배수시설’이 설치된 양천구 신월동에는 이번 강우(시간당 약 60㎜)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 시설이 없었으면 600세대가 침수됐을 것으로 시는 분석했다.

시는 사업의 첫 단계로 구체적 시설 규모를 설정하기 위한 사업별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용역’을 다음 달에 착수한다. 내년 상반기 용역을 완료하고 2027년까지 설치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나머지 사당동, 강동구, 용산구 일대 3개소는 2단계 사업으로 단계별 추진되며 2032년 시설이 완공될 예정이다.


오피니언

포토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박보영 '뽀블리의 미소'
  • [포토] 고윤정 '반가운 손인사'
  • 임지연 '매력적인 미소'
  • 손예진 '해맑은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