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파리 실험 통해 세포 주요 대사물질 수치 변화 확인”
“과도한 청색광 노출 줄이는 것이 좋은 노화 예방 전략”

스마트폰이나 PC, TV 등 전자기기 화면 등에서 나오는 ‘청색광’(blue light)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세포 기능이 저해돼 노화가 빨라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과도한 청색광 노출을 줄이는 것이 노화를 예방하는 좋은 전략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미국 오리건주립대 통합생물학 교수 야드비가 기에불토비치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초파리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청색광이 세포의 기본 기능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주간 청색광에 노출된 초파리와 어둠 속에만 있던 초파리의 대사물질 수치를 비교했다.
앞선 연구에서 청색광에 노출된 초파리가 스트레스 예방 유전자를 활성화하고, 빛이 없는 어둠 속의 초파리가 더 오래 생존하는 것으로 밝혀져 고에너지를 가진 청색광이 노화를 가속하는 이유를 확인하기 위해 이런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청색광에 노출된 초파리 머리 세포에서 ‘호박산염’(succinate)은 늘고 ‘글루탐산염’(glutamate)은 줄어드는 등 세포가 제 기능을 하는데 필수적인 특정 대사물질에서 차이가 나는 것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호박산염은 각 세포가 기능하고 성장하는데 필요한 연료를 생성하는 필수적인 대사물질이지만, 청색광 노출로 이 수치가 늘어난 것은 연료를 주입했지만, 차에는 전달되지 않는 것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신경세포 간 소통을 맡은 글루탐산염 수치가 줄어든 것도 우려스러운 발견이라고 했다.
연구팀은 초파리 세포에서 발견된 이런 변화는 세포가 최적이 아닌 상태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이런 점이 조기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했다.
기에불토비치 교수는 “인간과 초파리 세포의 신호전달 화학물질이 같은 만큼 인간에게도 청색광이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청색광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피부와 지방세포부터 감각신경에 이르는 광범위한 인체 세포에 해를 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따라서 과도한 청색광 노출을 피하는 것이 노화를 줄이는 좋은 전략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연구진은 초파리 실험에 이용한 청색광이 일반적으로 인체에 노출되는 것보다 상당히 강해 실제 인체에 일으키는 피해는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인정했다. 그런 점에서 인체 세포를 대상으로 이뤄질 미래 실험에서는 대사물질에서 초파리와 비슷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청색광 노출 범위를 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노화 프런티어스’(Frontiers in Aging)에 발표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