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농산물 물가 상승률이 8.5%를 기록하면서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진 가운데 이달에도 주요 농산물 가격이 1년 전보다 높은 수준을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곡물 수입단가도 전분기보다 더 오를 것으로 예측되는 데다 농산물값 상승세도 이어지면서 추석을 앞두고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전망이다.
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관측 8월호 엽근채소’, ‘농업관측 8월호 양념채소’ 보고서에 따르면, 이달 배추·무·양파 등 주요 농산물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크게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최근 고공 행진하고 있는 배추 도매가(상품 기준)는 10㎏에 2만원 내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전년 동월(9018원)보다 121.8% 오른 가격이며, 평년(1만2677원)과 비교해선 57.8% 상승한 수준이다. 평년 가격은 2017∼2021년 가격 중 최댓값과 최솟값을 제외한 가격의 평균을 의미한다.
8월 배추가격 전망에는 출하량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7%(평년 대비 9.5%) 감소하는 점 등이 영향을 미쳤다. 조사팀은 9월에도 여름(고랭지)배추 출하량 감소로 가격이 1년 전 및 평년보다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배추 도매가는 이미 지난달에도 10㎏당 1만4159원을 기록해 지난해 7월보다 157.4%, 평년보다 87.5% 비싼 수준을 나타냈다.
이달 무 도매가격은 20㎏당 1만9000원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지난해 8월(1만1333원)보다 67.6%, 평년(1만5498원)보다 22.6% 각각 비싸다. 무 가격 역시 저장 노지봄무 및 여름무 출하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소비자들이 많이 찾는 양파의 예상 도매가는 ㎏당 1350원으로 지난해와 평년보다 각각 52.7%, 48.8% 상승할 전망이다. 전년 대비 출하량이 5.3% 감소할 것으로 예측된 감자의 도매가격은 20㎏(수미)당 3만9000원으로 지난해와 평년보다 각각 34.0%, 26.5%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외에도 당근 도매가는 20㎏ 기준 3만3000원으로 전년 동월보다 37.8%(평년 대비 11.4%), 건고추 600g(화건 상품 기준)의 도매가는 1만3500원으로 1년 전보다 12.3%(평년 대비 5.9%) 오를 전망이다.
이미 지난달 큰 폭으로 농산물 가격이 오른 데 이어 이달에도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관측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살림살이는 더 팍팍해질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농산물 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8.5% 올랐으며 특히 채소류 가격은 폭염과 잦은 비 등의 영향으로 1년 전보다 25.9% 급등했다. 올해 3분기(7∼9월) 밀·옥수수·쌀 등 곡물의 수입단가가 2분기보다 더 오를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예년보다 이른 추석(9월 10일)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이달 밥상물가는 더 자극받을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다.
◆1억7000만원 증여받은 20대 이하
지난해 증여를 받은 20대 이하는 평균 1억7000만원에 달하는 자산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대비 증여 자산이 18% 증가한 것이다. 청년층의 자산 격차가 점점 심해지고 있다는 뜻으로, 취약계층에 속하는 청년들을 위한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4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20대 이하 증여 자산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20대 이하에게 증여된 자산은 총 11조9103억원이었고, 증여를 받은 사람은 7만115명이었다. 20대 이하가 1인당 평균 1억7000만원의 자산을 물려받은 셈이다. 이는 지난 2020년 1억4000만원에 비해 18.2% 증가한 것이다. 2020년 20대 이하에게 증여된 자산은 4조8931억원이었고, 증여 받은 인원은 3만4036명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 9조1498억원, 10대 1조8344억원, 10세 미만 9261억원이었다. 증여 받은 인원은 20대 4만6756명, 10대 1만3975명, 10세 미만 9384명이었다. 이에 따라 1인당 평균 수증 자산은 20대 2억원, 10대 1억3000만원, 10세 미만 1억원이었다.
김 의원은 저금리 기조에 자산 가격 상승이 이어지면서 증여에 나선 자산가들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코로나19 불평등으로 K자형 자산 양극화가 나타났다”며 “취약 계층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등 재정이 더 큰 역할을 해야 하고, 고액 자산가들의 상속·증여세를 청년층 자산 격차 완화와 국토 균형발전에 사용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부, AI 데이터 라이브러리 구축
정부가 ‘금융 인공지능(AI) 데이터 라이브러리’를 구축하는 등 금융 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이 활성화되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4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금융분야 인공지능 활용 활성화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밝혔다.
금융위는 우선 양질의 빅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금융 AI(인공지능) 데이터 라이브러리를 구축키로 했다. 현재는 가명정보의 경우에도 사용 후 파기(재사용 금지)해야 하는 규정이 있어 대량의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어려웠다.
금융위는 금융 AI 데이터 라이브러리를 구축해 규제 샌드박스 형태로 데이터 재사용을 허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개인정보 침해에 신용정보원을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 구성도 추진한다. 컨소시엄은 참여 업체를 확정지은 뒤 3분기 중으로 출범한다.
금융위는 금융분야 데이터 인프라 기관 등을 중심으로 금융권이 공동으로 사용 가능한 AI 빅데이터도 구축하기로 했다. 현재는 각 금융회사가 개별적으로 빅데이터를 수집‧생성해 활용하는 실정이다. 이종산업 간 데이터 결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데이터 전문기관도 추가로 지정한다.
금융위는 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설명 가능한 AI’를 뜻하는 ‘XAI’(eXplainable AI) 연구용역을 진행해 XAI의 정의와 요건, 구현 사례 등을 담은 안내서도 발간하고, 금융회사들의 망분리·클라우드 규제도 개선하기로 했다. ‘금융 AI 테스트베드’를 구축해 보안위험 등을 사전에 탐지할 수 있는 보안관리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