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램 설계비 허위보고 감사할 것”
“무책임 시장 탓 지역화폐 예산난”
‘무능’ 강조해 ‘해결사’ 부각 포석
“시민에 과도한 불안감 조성” 지적

대전시장직인수위원회가 전임 민선 7기 주요 현안에 대해 연일 공개적으로 강도 높은 질책을 쏟아내고 있다. 21일 대전시 안팎에서는 차기 시정 담당자 측의 전임 시정에 대한 직접적인 비난·비판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앞서 대전시장직인수위는 7일 출범 후 인수위의 주요 기능인 시정 인수인계와 대전시장 당선자의 공약·비전의 정책화보다 민선 7기 시정 문제점 들춰내기에 매진하는 이례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인수위가 활동을 개시한 지 2주가 지났지만 21일까지 이장우(사진) 시장 당선자의 공약 점검 및 이행과 관련한 브리핑이나 보도자료는 한 건도 없다. 반면 민선 7기 핵심 현안이었던 지역화폐 ‘온통대전’과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정책에 대해 질타하는 보도자료와 입장문은 잇따라 내고 있다.
보도자료 제목과 내용을 보면, ‘속이다’ ‘충격’ ‘아깝다’ 등의 자극적이고 거친 어휘를 사용하고 있다. 인수위는 지난 17일 도시철도 2호선 트램의 총사업비 증액과 관련해 “대전시민, 중앙정부, 인수위까지 속인 트램 충격”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내고 “업무보고에선 2020년 10월 기준 트램 건설비가 7491억원에서 144억원 증가했다고 한 후 3일 뒤 뜬금없이 1조4837억원으로 늘었는데, 이는 명백히 허위보고”라고 일갈했다. 이와 관련 이 당선자는 취임 후 트램 건설 총사업비에 대한 감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온통대전 캐시백 예산 부족 사태엔 “민선 7기 대전시정이 자초한 무책임한 재정 운용 사례로 기록하게 됐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인수위가 대전시정에 연이어 난타를 가하자 시정 책임론을 명확히 하는 한편 여론 호도의 목적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이 당선자가 후보 시절 주장했던 ‘민선 7기 시정 무능론’을 재차 부각한 후, 민선 8기를 ‘해결사’ 이미지로 구축하겠다는 포석이 아니냐는 것이다.
인수위의 시정 평가가 문제제기를 넘어 책임론으로 확대되자 시민 불안감을 조장한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김정동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21일 “인수위는 질책과 선긋기가 아닌 정책의 수정과 보완점을 제시하는 게 바람직한 방향”이라며 “공식 브리핑도 아니고 문제 있을 때마다 보도자료를 뿌리는 형식은 정당에서나 봐왔던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김 처장은 이어 “이 당선자가 인수위 출범 시 ‘점령군이 되지 않겠다’고 했는데 현 모습은 점령군의 모습과 다름 아니다”라며 “감사 수준의 인수위 활동은 행정 연속성에서 불안함만 준다”고 꼬집었다.
인수위 관계자는 “업무보고를 받아보니 납득이 안 가는 현안 문제점이 있었다”면서 “충분히 민선 7기에서 보강했어야 하는 문제들이었고, 취임 전에 문제를 해결할 방안을 찾으라는 주문인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