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1∼20일 수출이 1년 전보다 3% 이상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수입은 20% 넘게 증가하면서 이달에도 무역수지 적자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수출액(통관 기준 잠정치)은 312억83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4% 감소했다. 다만, 이 기간 조업일수(13.5일)가 1년 전(15.5일)보다 이틀 적은 점을 고려하면 일평균 수출액은 11% 증가했다.
주요 품목의 수출 동향을 보면 반도체(1.9%), 석유제품(88.3%), 가전제품(2.0%)등의 수출액이 1년 전보다 늘었다. 반면 승용차(-23.5%), 자동차 부품(-14.7%), 무선통신기기(-23.5%) 등의 수출액은 감소했다.
수출 상대국별로는 대만(16.5%), 싱가포르(54.9%) 등은 증가하고 중국(-6.8%), 미국(-2.1%), 유럽연합(EU·-5.3%), 베트남(-4.7%) 등은 감소했다.
수출에 비해 수입액은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수입액은 389억25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21.1% 늘었다. 원유(63.8%), 반도체(40.2%), 석유제품(24.5%) 등의 수입액은 늘고 반도체 제조장비(-6.5%), 승용차(-34.8%) 등의 수입액은 감소했다.
특히 ‘3대 에너지원’인 원유(60억600만달러), 석탄(16억9800만달러), 가스(15억5700만달러)의 합계 수입액은 92억6100만달러를 기록, 지난해 같은 기간(55억2800만달러)보다 67.5%나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23.4%), 미국(13.3%), 일본(1.9%) 등으로부터의 수입액이 늘고 EU(-3.3%), 러시아(-44.1%) 등에서의 수입액은 줄었다. 지난해 6월 수입 증가율(40.9%)이 수출 증가율(39.7%)을 상회한 이후 수입 증가율은 월간 기준 12개월 연속 수출 증가율을 웃돌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같은 기간 흑자(2억3600만달러)를 기록하던 무역수지는 1년 만에 76억4200만달러 적자로 돌아섰다. 무역수지는 지난 1월(-47억4200만달러)과 4월(-25억800만달러), 5월(-17억1만달러)에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이달에도 적자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올해 들어 이달 20일까지 누적 무역적자는 154억6900만달러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학폭 대입 탈락](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67.jpg
)
![[데스크의 눈] 트럼프와 신라금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8/12/128/20250812517754.jpg
)
![[오늘의 시선] 巨與 독주 멈춰 세운 대통령](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55.jpg
)
![[김상미의감성엽서] 시인이 개구리가 무섭다니](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4/128/2025110451864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