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에서 일본뇌염 매개 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처음으로 발견됐다.
울산시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17일 시행한 감염병 매개 모기 밀도조사에서 작은빨간집모기가 발견돼 시민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21일 밝혔다.
보건환경연구원은 감염병 매개체 감시를 위해 축사 2곳, 공원 1곳, 도심지 1곳을 선정해 4월부터 10월까지 매주 2회에 걸쳐 감염병 매개 모기 밀도조사를 하고 있다.
작은빨간집모기는 논이나 동물 축사, 웅덩이 등에 서식하는 암갈색의 소형 모기로, 주로 밤에 흡혈 활동을 한다. 6월에 남부지역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우리나라 전역에서 관찰되며, 7∼9월 밀도가 높아지고 10월까지 관찰된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매개 모기에 물린 경우 대부분 무증상이지만, 극히 일부에서 고열·두통·경련·혼수상태 등 급성 신경계 증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전국적으로는 지난 4월 7일 부산에서 올해 처음으로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확인돼 질병관리청이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다.
시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과 예방 접종이 중요하다”며 “생후 12개월에서 만 12세 이하 아동은
표준예방접종 일정에 맞춰 접종하고, 가정에서나 야외활동을 할 때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관리와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