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2년간 서울에서 고독사로 분류된 사망자 10중 약 6명은 50·60대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10명 중 2명은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기초생활수급 1인가구 중 홀로 숨진 이들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도 50·60대 남성의 고독사가 가장 많았다.
서울싱크탱크협의회(SeTTA)가 20일 서울시청에서 연 ‘빅데이터 기반 고독사 예방’ 정책세미나에서 서울기술연구원 최수범 연구위원은 ‘고독사 실태조사 자료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시에서 고독사로 정식 분류된 사례는 2020년 51건에서 2021년 76건으로 늘었다. 이 기간 고독사로 분류된 사망자 127명을 분석한 결과 사망자 10명 중 8명(76.4%)은 남성 1인 가구였다. 60대가 31.5%(40명)로 가장 많았고 50대 26.8%(34명), 70대 18.1%(23명), 40대 13.4%(17명)으로 뒤를 이었다.
전체 고독사 사망자 중 생계·의료·주거 등 기초생활수급자는 80.3%(102명)로 집계됐다. 나머지 19.7%(25명)는 비수급자였다. 비수급 사망자 중 60.0%(15명)는 관리(상담) 이력조차 없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망자 중 고독사 예방 상담을 받은 이력이 있는 사례는 8.7%(11명)에 불과했다. 상담을 받았지만 고독사로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
수급자의 경우 99.0%가 상담을 받았지만, 대부분 재무·정신질환 등으로 고독사와 직접 관련된 내용은 아니었다. 이들은 상담을 받은 후 석 달 정도 지난 뒤에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중장년 남성의 고독사 위험은 서울시복지재단 조사에서도 확인됐다. 서울시복지재단 송인주 선임연구위원은 혼자 집에서 사망한 국민기초수급자와 서울시 고독사 사망사건 동향보고 978건을 분석했다.
그 결과 978명 중 60대 남성이 236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50대 163명, 70대 119명으로 나타났다. 보통 남성의 사망 연령이 70·80대에 집중 분포하는 것과 달리 고독사 위험계층에서는 50·60대 사망이 많았다. 고독사 위험계층 여성의 경우 80대 112명, 90대 86명, 70대 67명 순으로 분포해 전체 국민의 사망 연령과 유사했다.
최수범 연구위원은 “현재 지원으로는 고독사를 예방하기 어렵고, 위험군 선별에도 어려움이 있다”며 “위험군을 조기 발견하기 위해서는 수동적인 조사에서 데이터 기반의 위험군 발굴 체계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서울시는 올해 고독사 위험 2000 가구에 고독사 예방을 위한 스마트플러그 기기를 업그레이드할 계획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스마트 플러그 수신 정보를 보다 효율적이고 시시각각 관리할 수 있도록 전력 데이터 송수신의 오작동 개선 등 ‘기술적 차원’의 개선 제안이 이뤄졌다.
아울러 서울기술연구원은 스마트 플러그를 멀티탭 형태로 제작해 낡은 멀티탭을 교체해주거나 전기요금 보조를 통해 스마트플러그 보급 확대를 모색할 예정이다.
구종원 서울시 복지기획관은 “복지 사각지대가 줄어들면 위험군을 미리 찾아서 고독사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