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인 유흥식 라자로(71) 대주교의 추기경 서임 소식에 국내 가톨릭 교계가 크게 환영했다.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정순택 대주교는 30일 축하메시지를 내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님의 추기경 서임을 서울대교구 사제, 수도자, 신자들과 함께 진심으로 축하드린다”며 “하느님께서 유 신임 추기경님에게 특별한 은총과 지혜를 주시기를 청한다”고 밝혔다. 정 대주교는 “‘나는 세상의 빛이다(Lux Mundi)’라는 추기경님의 사목표어처럼 어려운 지역교회에 빛이 돼 주시고,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의 목소리를 경청해주길 기도한다”고 바랐다.
전임 서울대교구장인 염수정 추기경도 “우리나라의 네 번째 추기경이 되신 유흥식 라자로 대주교님께 진심 어린 축하의 인사를 전한다”며 “신임 추기경님께서 교황님을 잘 보좌하여 세계교회에 큰 도움이 되시기를 기도한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세계교회를 위해, 특히 가난하고 소외된 아시아·아프리카 지역에 많은 사목적 관심을 부탁드린다”며 “특별히 한반도 평화를 위한 역할도 잘 수행해주시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인 이용훈 주교도 “한국 천주교회로서는 네 번째 추기경님을 맞게 됐다”며 “이토록 큰 기쁨을 안겨 주신 하느님 아버지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고 환영했다. 이 주교는 “유흥식 추기경님의 순교자들에 대한 깊은 신심과 친교의 삶은 한국 교회와 아시아 교회를 넘어 보편 교회 안에서도 큰 힘을 발휘하고 있다”며 “자비로우신 하느님께서 추기경님과 늘 함께 하시며 필요한 은총을 풍성히 내려 주실 것”이라고 했다.
앞서 프란치스코 교황은 29일(현지시간) 바티칸 성베드로 광장에서 열린 부활삼종기도 후에 유흥식 대주교를 비롯한 21명의 고위성직자를 추기경에 임명했다. 추기경은 교황의 최측근으로 교황 업무를 보필한다. 새로 임명된 21명 추기경을 포함하면 전 세계 추기경은 총 229명이다. 이 중 교황 선출을 위한 선거권을 가진 80세 미만 추기경은 133명이다.
유흥식 대주교보다 먼저 추기경에 오른 한국인 성직자는 고(故) 김수환 스테파노 추기경(1969년 서임), 고(故) 정진석 니콜라오 추기경(2006년 서임), 염수정 안드레아 추기경(2014년 서임)이다. 세 추기경은 서울대교구장으로서 추기경에 임명됐고, 교황청 관료로서 추기경에 임명된 것은 유흥식 대주교가 처음이다. 그는 지난해 6월 11일 교황청 성직자성 장관으로 임명된 지 약 11개월 만에 추기경에 오르는 영예를 얻게 됐다. 유흥식 대주교 등 새 추기경들의 서임은 오는 8월 27일 현지 추기경 회의에서 할 예정이다.
◆추기경 의미와 선발 과정, 권한과 역할은…
추기경(樞機卿·Cardinalis)은 가톨릭 교회의 교계제도에서 교황 다음의 권위와 명예를 가진 지위다. 추기경은 교황을 직접 보필하면서 전세계 가톨릭 신자들을 직접 관할하는 자리다. 추기경에서 추기(樞機)라는 말은 중추(中樞)가 되는 기관을 말하며, 경(卿)은 높은 벼슬에 대한 경칭이다. 추기경은 추기경단의 구성원으로 임명된 주교다. 중대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함께 소집될 때는 합의체적으로 행동해 교황을 보필하거나, 개별적으로 수행하는 여러가지 직무로 교황을 보필한다. 추기경이 ‘교황의 최고위 보좌관’으로도 불리는 이유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 따르면, 추기경이라는 용어는 그레고리오 대교황(590~604년)때 교회법 용어로 채택됐다. 추기경은 ‘돌쩌귀’를 뜻하는 라틴어 ‘카르도(cardo)’에 어원을 두고 있다. 문짝을 문설주에 달고 여닫으려면 돌쩌귀가 중요하듯, 교회를 바로 세우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인물(중추자)이라는 뜻이다.
추기경은 적어도 사제품을 받았고, 학식과 품행, 신심과 현명한 업무처리 역량이 특출한 남자 중 선발된다. 아직 주교가 아닌 이들은 추기경으로 서임되면 주교 서품을 받아야 한다.
새 추기경의 서임은 교황이 직접 추기경 회의에서 한다. 교황은 전 세계 도처에서 적격자들을 뽑아 추기경으로 임명한다. 추기경의 서임은 교황의 명시적 의사 표시 외에 다른 것이 필요하지 않다. 미리 다른 추기경의 자문이나 동의를 받을 필요도 없다. 과거에는 오스트리아·프랑스·에스파냐·포르투갈 등의 국왕이 교황에게 추기경 후보들을 추천할 수 있는 특권이 있었다. 오늘날에는 세속 국가의 추천권이 없다.
전세계 모든 추기경이 소속된 추기경단은 교회법상 교황의 최고 자문기관이다. 추기경 제도는 4세기 초반에 시작됐고, 추기경단이 구성된 것은 12세기 중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 모든 추기경은 출신 국가에 관계없이 바티칸 시민권을 갖게 되며, 외국 방문 시 국가원수에 준하는 예우를 받는다.
추기경들은 교황에게 성실히 협조할 의무가 있다. 교황청에서 일하는 추기경들은 로마에 상주해야 한다. 지역 교회의 교구장 주교인 추기경들은 교황이 추기경 회의를 소집할 때마다 로마에 가야 한다. 추기경 복장은 ‘순교의 피’를 상징하는 진홍색이다. 그래서 추기경을 홍의(紅衣) 주교라고도 부르기도 했다.
반면 교황의 복장은 백색이다. 주교의 복장은 모두 자주색이고, 사제의 복장은 모두 흑색이다. 추기경단은 수석 추기경이 지휘한다. 수석 추기경은 사도좌 공석 때 교황궁무처장이나 궁내원장에게서 교황의 사망 소식을 전해 듣는 즉시, 모든 추기경에게 그 소식을 알리고 추기경회의를 소집하며 세계에 교황의 사망 사실을 알린다.
성직자가 일단 추기경으로 임명되면 신분상의 지위는 종신직이다. 80세 미만의 추기경은 현 교황이 서거하거나 사퇴할 경우 ‘콘클라베(Conclave·교황 선출 투표)’에서 한 표 행사가 가능하다. 교황으로 선출되는 자격도 갖게 된다.
그러나 80세가 되면 법률상 자동적으로 교황 선거권을 비롯한 모든 직무가 끝난다. 1971년 바오로 6세 때부터 연령 제한을 둬 80세 이상 추기경은 교황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모두 없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