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코르티솔↓·옥시토신↑…스트레스 감소 효과 뚜렷”
“남성에게는 그닥 효과가 없어…어색하게 생각하기 때문”

여성이 시험이나 면접, 발표 등을 앞두고 연인과 포옹을 하면 스트레스를 덜 받는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다만 남성에게는 이러한 효과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는 대체로 포옹이 남녀 모두에게 좋은 것으로 생각됐지만, 남성 경우는 기대만큼은 아니라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23일(현지시간) 미국 CNN 방송에 따르면 독일 보훔루르대 연구팀은 최근 연인 관계에 있는 19세~32세 연인 38쌍(76명)을 대상으로 포옹의 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해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밝혔다.
연구팀은 참가자 절반에게는 20초 동안 서로 껴안도록 했고, 나머지 절반은 포옹을 하지 않게 한 뒤 모든 참가자들이 카메라를 쳐다보고 한 손을 얼음물 욕조에 3분 동안 넣게 했다.
그리고 타액 내 호르몬 ‘코르티솔’과 ‘옥시토신’, 혈압 등 다양한 스트레스 지표를 측정했다. 이는 스트레스 유발 상황 전의 포옹 여부가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기 위해서다. 코르티솔은 스트레스를 받으면 분비되는 호르몬이며, 옥시토신은 코르티솔을 억제하는 호르몬이다.
그 결과, 스트레스가 생기는 일에 앞서 연인을 포옹한 여성은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코르티솔의 수치가 더 낮았고, 옥시토신의 수치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포옹의 이점이 남성에게선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논문에 참여한 네덜란드 신경과학연구소의 줄리안 팩하이저 연구원은 남성들이 스트레스 지표가 줄지 않은 것은 포옹이 어색한 행위로 받아들여졌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팩하이저 연구원은 “많은 남성들이 포옹을 유별나거나 어색한 것으로 인식해 기분이 좋지 않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생물학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접촉 감각력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 연구가 여성이 시험이나 면접, 발표 등을 앞두고 스트레스를 느낀다면 연인과 껴안아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과학 저널 ‘플로스 원(PLOS One)’에 게재됐다.
이 밖의 많은 연구들은 포옹이 스트레스를 줄일 뿐 아니라 면역력을 향상하는 등의 이유로도 매우 좋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랑하는 사람과 포옹을 하면 몸에서 옥시토신 호르몬이 나오면서 기분을 좋게 만들고 감염과 싸우는 다른 호르몬 분비를 촉진해 면역체계를 향상해 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