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김정은 "전국 도·시·군 봉쇄"…北코로나 확산

입력 : 2022-05-13 13:15:32 수정 : 2022-05-13 13:15:32

인쇄 메일 url 공유 - +

김정은, 국가비상방역사령부 방문
"모든 도·시·군에서 자기 지역 봉쇄"
"주동적 지역 봉쇄, 격리 조처해야"
4월 말 확산…12일에만 1만8000명↑
오미크론 확진 포함 6명 사망 추정
수도권 확산세에 제로 코로나 적용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국가비상방역사령부를 방문, 전국 봉쇄 및 단위별 격폐 등 북한판 제로 코로나 정책 이행을 강조했다. 북한 내 코로나19는 지난달 말 확산, 확진자가 대거 발생하고 일부는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13일 북한 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국가비상방역사령부를 지난 12일 방문했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지휘실을 돌아보면서 최대 비상방역 체계 이행 실태를 점검했다.

 

국가비상방역사령부는 북한이 지난 12일 당 중앙위원회 8기 8차 정치국 회의를 통해 경내 코로나19 스텔스 오미크론 유입을 발표한 뒤 조치한 최대 비상방역 체계 컨트롤타워에 해당한다.

 

해당 일정엔 조용원, 박정천 당 중앙위 정치국 상무위원이 동행했다.

 

김 위원장은 방역 체계 허점을 지적하고 "전국의 모든 도·시·군에서 자기 지역을 봉쇄하고 주민 편의를 최대로 보장하면서 사업·생산·거주단위별 격폐 조치를 취하는 사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전파 상황을 따라가면서 관리하면 피동을 면할 수 없다"며 "주동적으로 지역들을 봉쇄하고 유열자들을 격리 조처하며 치료를 책임적으로 해 전파 공간을 차단하는 게 급선무"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유열자 병 경과 특성들을 치밀하게 관찰하고 전문성 있는 지도서의 요구에 맞게 과학적 치료 방법과 전술을 전격적으로 따라 세우며 국가적 의약품 보장 대책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나아가 "인민들이 국가 비상조치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게 정치선전 사업을 공세적으로 할 것", "자기 지역·단위 방역 사업 정황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를 충분히 갖출 것", "방역 사업 신속성과 과학성을 보장할 것" 등을 주문했다.

 

그러면서 "직면한 보건위기 상황을 하루속히 역전시키고 방역 안정을 회복하며, 우리 인민 건강과 안녕을 수호하는 것은 당 앞에 나선 가장 중차대한 도전이고 지상 과업"이라고 강조했다.

 

매체에 따르면 북한 내에선 4월 말부터 원인을 알 수 없는 열병이 전국적 범위에서 폭발적으로 전파 확대 됐다. 짧은 기간 유열자(발열자) 35만 여명이 발생했다는 게 북한 측 설명이다.

 

북한은 환자들에 대해 '유열자'라는 단어로 지칭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그 중 16만2200여 명이 완치됐다"면서 이들이 사실상 코로나19 확진자들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표현을 썼다.

 

특히 지난 12일 하루에만 전국 범위에서 유열자 1만8000여 명이 새로 발생하는 등 북한 내 코로나19는 급격히 전파 중인 것으로 관측된다. 매체는 "현재까지 18만7800여 명이 격리 및 치료를 받고 있으며 6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사망자 6명 중에는 코로나19 스텔스 오미크론 BA.2 감염자도 있다고 북한 매체는 밝혔다. 앞서 북한은 8일 평양에서 검체 분석 결과 오미크론 바이러스 BA.2가 검출됐다고 공개한 바 있다.

 

북한이 긴급 방역 조치에 나선 배경으론 평양 인근 수도권 확산세가 꼽힌다. 김 위원장은 "열병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동시다발적으로 전파 확산됐다는 건 이미 세운 방역 체계에도 허점이 있다는 것"고 지적한 바 있다.

 

북한은 최대 비상방역 체계 아래 제로 코로나 정책 수준의 대대적 통제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의 전국 봉쇄와 함께 전 주민 대상 방역 검사, 비상용 비축 의료품 방출 등 조치가 취해지고 있다.

 

동시에 북한은 고강도 방역 통제에 따른 경제 사업 차질을 우려하는 모습이다. 김 위원장은 "숙원 사업을 제기일 안에 손색없이 완성해야 한다"고 주문했으며, 매체들도 이날 정상적 사업 진행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냈다.

<뉴시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