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불분명한 통계로 외국 이민자 공격
취임사에서 반지성주의 비판한 尹의 자기모순
대통령실 “조금 더 지켜보겠다”고 답해

“그동안 586 세력과 종북주사파에 대해 지속적으로 비판을 해왔던 것에 대한 앙갚음이다.”
지난 11일 동성애 혐오와 위안부 비하 논란이 불거진 김성회 대통령비서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자신을 향한 언론보도에 대해 밝힌 심정이다. 앞서 김 비서관은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라고 쓴 글과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비판하는 네티즌에게 “정부가 밀린 화대라도 받아야 하나”고 댓글을 단 것이 논란이 됐지만 이에 대한 보도를 음모론 수준으로 치부한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이 다문화 비서관으로 임명한 김성회 비서관의 동성애 혐오, 위안부 비하 논란이 불거지면서 다문화를 존중하지 않는 다문화 비서관이라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반지성주의가 민주주의를 위기에 빠트리고 있다”고 강조했지만 박지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비서관이야말로 반지성주의의 대표주자”라며 날을 세웠다.
◆다양성 존중하지 않는 다문화 비서관, 해명조차 논란
앞서 윤 대통령은 대국민 소통을 늘리기 위해 시민사회수석실을 확대 개편하기로 했고 종교와 다문화를 포함한 사회 각계각층과 단체와 소통하기 위해 종교다문화비서관 자리를 신설했다. 한국 사회의 다양성을 확대하고 지원하자는 취지다.

그러나 김 비서관이 과거에 했던 말을 살펴보면 다양성을 존중하기보다는 이민자들에 대한 왜곡된 시각을 드러냈다. 김 비서관은 지난해 9월 한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정부에서 숨기고 있는데 비공식 조사에 의하면 4%만이 정상적인 중도입국 자녀(외국에서 태어나 성장하다가 부모를 따라서 자기 나라로 들어오는 자녀)”라며 “친척을 자기 자식이라고 속이고 데리고 가고, 그 경우”라고 주장했다. 중도입국 자녀들이 한국에 들어와 일자리를 차지하는 것을 비판하고 사회통합비용이 증가한다고 지적하기 위해 근거가 불분명한 통계를 제시한 것이다.
이런 지적에 김 비서관은 12일 중도입국 자녀에 대한 통계는 “2015년 계명대 김혜순 교수의 논문 중, 중도입국자녀에 대한 실태조사로 확인되었다”고 반박했지만 2015년에 발간한 김 교수의 논문 ‘지역사회연구와 이민현상’에는 이런 실태조사는 나와 있지 않았다.
과거 글들에 대한 논란이 커지자 김 비서관은 사과의 뜻을 표명했지만 이조차도 논란이 됐다. 과거 “동성애는 정신병”이라고 했던 것은 혐오 발언의 성격이 있었다며 사과했지만 “동성애는 금연치료를 받듯이 일정한 치료를 통해 바뀔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또다시 동성애를 질병으로 바라보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조차도 1990년에 국제질병 분류에서 ‘동성애’를 삭제했고 대다수 과학자는 동성애는 정신 질환이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지만 김 비서관은 질병이 아닌 것을 치료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셈이다.
◆반지성주의가 민주주의 해친다고 비판한 尹 임명 철회할까?
지난 10일 윤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각자가 보고 듣고 싶은 사실만을 선택하거나 다수의 힘으로 상대의 의견을 억압하는 반지성주의가 민주주의에 대한 믿음을 해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는 지난 정권에서 조국 전 장관 등 자신들이 임명한 사람들의 문제가 드러나면 사실을 인정하기보다는 이를 왜곡하고 상대방을 공격하는 행태를 보여왔다고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자신을 향한 보도를 앙갚음이라고 주장하는 김 비서관이 보여주는 태도야말로 전형적인 반지성주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김윤태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객관적인 사실이나 과학적인 근거 없이 소수 집단에 대한 혐오 발언을 하고 이에 대한 비판을 정치 공세로 치부하는 것이야말로 (윤 대통령이 말한) 반지성적인 행태”라며 ”과거의 발언만으로 뿐만 아니라 현재의 해명조차도 2차 가해 성격인데 대통령이 표방한 가치와도 맞지 않는 사람 아닌가. 임명을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성회 비서관은 과거 전광훈 목사가 창간한 극우성향 매체에 논설위원을 맡으며 김건희 여사를 치켜세우는 칼럼을 쓴 사실도 확인됐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인선 배경에 대해서는 말할 수 있는 게 없다”고 했지만 이들의 인선에 김 여사가 개입했다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이런 논란들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12일 오전 용산청사 브리핑룸에서 김 비서관의 거취에 대한 입장을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조금 더 지켜보겠다”고 답변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