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수 대검찰청 감찰부장이 지난 2020년 4월 한 후보자와 채널A 기자 간 이른바 ‘검언유착’ 사건에 대한 감찰을 시작하겠다고 당시 검찰총장이었던 윤석열 대통령에게 보고하자 윤 대통령이 격분하며 위협적인 자세를 보였다고 증언했다.
한 부장은 지난 9일 한동훈 법무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인사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 ‘감찰을 방해하는 어떤 구체적인 행위가 있었느냐’는 김영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당선자(윤 대통령)가 측근을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라고 보기에는 극히 이례적인 행동을 보였다”고 운을 뗐다.
그는 “제가 그때 감찰3과장과 보고를 간다고 연락이 가 있었다”면서 “제가 못 보던 모습을 (윤 대통령이) 보이셨다. 책상에 다리를 얹어 놓으시고 스마트폰 하면서 굉장히 굵고 화난 목소리로 제 보고서를 ‘좌측 구석에 놓고 가’라고 하셨다”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어 “(제가 한 후보자에 대해) 임의제출 받고 압수수색을 하겠다고 하니 ‘쇼하지 말라’며 격분했다”고 덧붙였다.
한 부장은 윤 대통령에게 한 후보자에 대한 ‘감찰 개시’를 보고한 이후 자신을 겨냥한 언론 보도가 나왔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윤 대통령과 한 후보자 간 사전 소통이 있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감찰 개시를 문자로 보고하라고 해서 문건을 첨부해서 보내드렸는데 다음날 조선일보에 ‘감찰 개시 보고했다’(는 보도가 나왔다)”라며 “‘왜 이런 중요한 정보가 조선일보에 갔지 (생각이 들었다)’며 저의 정치적 중립성을 공격하는 어떤 수법인지 이제 다 이해가 된다”고 했다.
그는 ‘윤 대통령과 감찰 대상자인 한 후보자가 17차례 통화했는데 사건 대응을 함께 논의한 것 아니냐’는 김 의원 질문에 “충분히 합리적인 추론이 가능하다”고 답했다.

한 부장은 “저의 감찰 개시 자체를 보고받지 않기 위해선 (책상) 양쪽에다가 양발을 올려놓으시고 굉장히 거친 모습으로 놓고 가라고 하면 통상의 검사들은 간다”고 덧붙였다.
한편, ‘검언유착’ 사건 관련 국민의힘 측 증인으로는 대검 형사1과장으로 당시 수사지휘 실무를 맡았던 박영진 의정부지검 부장검사가 출석했다.
그는 ‘당시 추미애 법무부 장관을 비롯한 친정권 검사들이 전방위적 압력을 가한 사실이 있느냐’는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그렇다”라고 답했다.
박 부장검사는 “김관정 당시 대검 형사부장이 총장의 수사지휘권이 박탈됐으니 형사부 명의로 내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해서 형사1과 명의로 대검 수사심의위원회에 낼 의견서를 준비하고 있었다”고 했다.
이어 “당시 법무부나 중앙지검, 대검 내부에서도 구본선 당시 대검 차장과 김관정 당시 형사부장이 이를 제출하지 말도록 다각도로 종용이 있었다”면서 “법무부 쪽에서는 전무곤 당시 형사기획과장이 다이렉트로(직접) 연락이 왔다. 김태훈 당시 법무부 검찰과장도 연락했다”고 언급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