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품목 가운데 전체 수입량의 20% 이상인 경우가 118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러시아안 수입 비중이 50% 이상인 품목도 62개에 달했다. 국제사회의 대 러시아 제재로 공급망 타격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국책연구기관인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정형곤 선임연구위원은 1일 통관 코드(HS10) 단위 기준으로 지난해 러시아에서 수입한 품목 2075개(173억5000만달러)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밝혔다.
118개 품목 중 수입액이 가장 많은 품목은 나프타(43억8000만달러)로, 러시아산이 해당 품목 전체 수입액(187억달러)의 23.4%를 차지했다. 나프타는 석유류의 일종으로 휘발유나 석유화학 등의 원료로 쓰인다. 원자력발전에 쓰이는 우라늄235를 농축한 우라늄(2억5000만달러)도 전체 수입액 중 33.8%가 러시아산으로 나타났다.
수산물은 러시아산 의존도가 특히 높았다. 대게는 전체 수입의 전부를 러시아에서 들여왔고, 명태(96.1%), 대구(93.6%), 북어(92.7%), 명란(89.2%) 등도 비중이 높았다.
우크라이나로부터 들어오는 제품도 공급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산 수입 의존도가 20% 이상인 품목은 해바라기씨유(54.8%), 크립톤(30.71%), 금홍석(30.1%), 네온(23.0%) 등 16개로 집계됐다. 크립톤과 네온은 반도체 공정에 필요한 희귀가스다.
우리나라 수입 전체로 보면 러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2.8% 수준에 그친다. 하지만 러시아 의존도가 매우 높은 품목이 적지 않아 대체재 마련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 선임연구위원은 “글로벌 공급망 문제에 있어서는 금액보다 어느 한 나라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품목을 주의해야 한다”며 “범용 제품의 경우 대체 수입국을 찾을수 있겠지만 비용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中 관광객 운전 허용’ 우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78.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사관 역할 아직 끝나지 않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38.jpg
)
![[세계와우리] 한·미 산업 재균형도 중요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69.jpg
)
![[기후의 미래] 진화하는 전쟁의 기록](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3/128/20251023519807.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