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차가 스스로 상향등 조정하는 SM6… “어두운 길엔 상향등, 상대 차에는 하향등” [시승기]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2-02-01 10:00:00 수정 : 2022-02-01 09:15:17

인쇄 메일 url 공유 - +

SM6의 어댑티브 라이트인 ‘LED 매트릭스 비전 헤드램프’ 기능이 작동하는 모습. 르노삼성차 제공

르노삼성자동차가 최근 국내에서 조용한 인기 몰이에 나서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부족 등으로 다른 회사의 차량 출고가 지연되는 사이 빠른 출고를 강점으로 판매량이 늘어나는 것이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 중견 3사 중 유일하게 실적이 개선되며 가능성을 보여주기도 했다. 르노삼성차의 대표 모델인 ‘더 뉴 SM6 TCe 300 프리미에르’ 모델(최고출력 225마력, 최대토크 30.6kg·m)을 지난달 18일 ‘2022 SM6 야간 시승 프로그램’을 통해 체험했다.

 

이날 시승은 동급 유일의 ‘어댑티브 라이트’(적응형 주행빔·ADB) 기능을 테스트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르노에서는 ‘LED 매트릭스 비전 헤드램프’로 불린다. SM6는 이 기능을 ‘라이팅 패키지(93만원)’라는 이름의 선택 사양으로 판매하고 있다. 야간에 상향등을 켜면 차가 스스로 전방 카메라를 통해 전방 차량과 반대 차선 차를 감지해 상대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구역의 상향등을 부분 소등하는 기능이다.

 

오후 4시쯤 서울에서 출발해 경기 가평군 청평면 북한강로 주변에 도착했다. 적응형 주행빔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 해가 지기를 기다렸다. 오후 7시가 되자 양평군 서종면 문호리부터 강원도 화천군 시내면을 연결하는 391호 지방도로는 어둠이 짙게 깔렸다. 가로등이 드문드문 있었지만 일부 구간은 상향등을 켜지 않으면 길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어두웠다. 평일인 탓에 이곳을 지나는 차량도 많지 않았다. ‘적응형 주행빔’ 기능을 확인해 보기에 최적의 구간이었다.

 

북한강을 따라 구불구불 이어지는 도로를 ‘적응형 주행빔’ 기능을 켠 채 주행했다. 시속 40km/h를 넘어서자 ‘적응형 주행빔’ 기능이 작동하고 있다는 신호가 계기판에 들어왔다. 평소라면 이런 어두운 길에서 왼손을 핸들에서 떼 상향등을 필요할 때마다 켜거나, 상향등을 켠 채로 달리다 반대 차선에 차량 불빛이 보이면 이를 끄기를 반복해야 한다. 특히 선행 차량이 있을 경우에는 상대 운전자의 눈부심 방지를 위해 상향등을 켜기가 어려웠다. 이곳처럼 코너가 많은 길에서는 핸들에서 손을 반복적으로 놓아야 해 안전상의 어려움도 있었다.

 

이날 야간 주행은 평소와는 달랐다. 전방에 차량이 없을 때는 상향등이 자동으로 켜지며 약 220m 전방까지 시야를 확보해줬다. 반대 차선에서 차량이 접근해도 상향등을 조정할 필요가 없었다. 헤드램프에 장착된 상향등이 전체를 15개 구역으로 나누어 접근하는 불빛(차량)이 있는 곳에만 상향등을 부분 소등했다. 해당 차량 옆으로는 여전히 상향등 불빛이 켜져 있어 시야 확보에 불편함이 없었다.

 

운전하면서 헤드라이트가 실시간으로 반응하는 모습이 이색적이었다. 또 전방에 선행 차량을 만나거나, 가로등이 밝은 구간을 지날 때는 상향등이 자연스럽게 내려가기도 했다. 르노삼성차에 따르면 헤드램프의 하이빔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구성돼 주변 환경에 따라 이를 각각 켜고 끄는 기능을 반복해 15개 영역에 대해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다. 어두운 길에서 상향등을 켜고 끄는 것을 신경 쓰지 않는 것만으로도 운전이 한결 수월했다. 또 상향등을 항시 켜고 달릴 수 있어서 야간에도 운전 시야가 충분히 확보되는 점도 좋았다. 스티어링 휠에서 손을 떼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 코너가 많은 길에서 확실히 운전의 부담을 덜어줬다.

 

어두운 국도 주행을 마치고 서울로 돌아오는 고속도로에서도 이 기능을 활용해봤다. 고속도로는 비교적 차량이 많았지만 이 와중에도 어두운 구간에서는 차와 가로등을 피해 상향등이 켜지며 시야를 더 확보해줬다. 이때는 주로 전방보다는 측면의 시야가 확보됐다. 다만 기능적으로는 뛰어났지만 문제는 가격이다. 국내 소비자들이 100만원에 가까운 돈을 내고 이 기능을 선택할지는 의문이다. 주차보조와 하이패스 등이 포함된 70만원대 ‘운전보조 패키지2’보다 가성비에서는 확실히 불리해 보였다. 그럼에도 어두운 시골길 등을 운전할 일이 많거나, 야간 주행 시 시야 확보가 잘 되지 않는 운전자라면 절대 아깝지 않은 선택이 될 것 같았다.

 

이날 시승한 SM6는 2022년형으로 바뀌면서 주행 성능과 승차감 개선과 함께 차에서 결제할 수 있는 인카페이먼트, 안전지원콜 기능도 탑재됐다. SM6의 판매 가격은 156마력, 26.5kg·m의 힘을 내는 TCe 260 모델이 2386만∼2975만원이며, TCe 300 프리미에르는 3387만원이다.(개소세 3.5% 기준)

 

최근 르노삼성차의 ‘깜짝 판매고’는 타사의 차량 출고 지연에 따른 반사효과가 크다. 2016년 처음 출시된 이후 르노의 패밀리룩을 이어가고 있는 SM6는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신선한 느낌이 다소 부족하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앞으로 르노삼성차가 국내에서 다시 전성기를 누리려면 이번 실적 반등을 계기로 세계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주요 차종을 국내에도 더 적극적으로 도입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그동안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고가 높았던 차들이 국내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신 전철을 생각하면 르노삼성차가 국내 소비자의 취향을 저격할 차를 가져오기 위해 본사와의 협상을 어떻게 풀어나갈지에 관심이 쏠린다.


가평=조병욱 기자 brightw@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