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당뇨병 환자, 혈당 8% 이상시 심근경색 사망률 2.6배↑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2-01-11 14:03:42 수정 : 2022-01-11 14:03:41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서울성모병원 추은호 교수팀 분석·연구 결과
“당화혈색소 6.5~7%일 때 사망률 가장 낮아”
“6.5 이하 시 사망률 2.2배↑…저혈당도 위험”
당뇨병 환자의 혈당 체크. 게티이미지뱅크

 

당뇨병은 합병증이 무서운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혈당이 조금 높거나 낮더라도 당장 큰 문제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합병증 예방에 소홀해지기 쉽다. 

 

특히 당뇨병은 심혈관 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위험인자이지만, 급성심근경색을 예방하기 위한 정확한 치료 목표치는 명확하지 않은 실정이었다.

 

그런데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상태를 반영하는 수치인 ‘당화혈색소’ 수치가 8%를 초과하면 심근경색 사망률이 2.6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심뇌혈관병원 추은호 교수와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최익준 교수 연구팀은 국내에서 심혈관 중재시술(PCI)을 받은 급성심근경색(AMI) 환자 1만719명 중 당뇨병을 동반하고 당화혈색소를 3번 이상 측정한 1384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평균 당화혈색소 수치와 사망률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확인됐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심근경색 환자의 약 38%(4,093명)가 당뇨병을 동반하고 있었다.

 

연구팀은 분석대상 환자를 당화혈색소 수치에 따라 ▲6.5% 이하 ▲6.5% 초과~7% 이하 ▲7% 초과~7.5% 이하 ▲7.5% 초과~8% 이하 ▲8% 초과 등 5개 그룹으로 분류, 평균 6.2년간 추적관찰했다.

 

그 결과, 평균 당화혈색소가 6.5% 초과~7% 이하 그룹의 예후가 가장 좋았고, 당화혈색소 6.5% 이하 그룹은 대조군(6.5% 초과~7% 이하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2.2배, 8% 초과 그룹은 사망률이 2.6배 증가했다. 

 

이 같은 경향은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통계적으로 더 유의하게 나타났다. 

 

추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당화혈색소 치료 목표치 구간의 사망률이 낮은 경향성이 강하게 나타나 혈당 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면서 “하지만 혈당을 너무 낮출 경우 저혈당의 위험성이 있어 특히 65세 이상인 노인 환자들은 혈당 관리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연구가 심근경색증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조절 목표치를 제시한 중요한 근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심혈관 당뇨병학(Cardiovascular Diabetology)’에 지난달 15일자로 게재됐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