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케미칼이 바나듐이온 배터리 제조업체인 스탠다드에너지에 650억원을 투자해 지분 약 15%를 확보하며 2대 주주로 올라섰다고 6일 밝혔다.
스탠다드에너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이 2013년 설립한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바나듐이온 배터리를 개발했다.
바나듐이온 배터리는 리튬이온 배터리와 달리 물 기반 전해액을 사용해 발화 위험성이 낮고, 높은 안정성과 내구성을 바탕으로 고효율·고출력이 가능하다.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롯데케미칼은 2011년부터 바나듐, 아연흐름전지 등 ESS용 이차전지 소재를 연구해왔다. 2019년부터는 바나듐이온 배터리용 전해액 사업을 준비해왔다. 글로벌 ESS 배터리 시장 규모는 2026년까지 약 120조원(약 106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협력을 통해 양사는 롯데그룹과 롯데케미칼의 국내 외 거점망을 활용한 전기차 충전소, UAM(도심항공교통), 재생에너지 활용 사업에서도 협력하는 것을 검토할 계획이다.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황진구 대표이사는 “롯데케미칼은 탄소중립, 수소 사회 진입 등에 대비해 선진 기술 기업에 선제적인 투자와 협력 관계를 구축해 글로벌 기술 경쟁 시대에 적극 대비할 것”이라고 했다.
김부기 스탠다드에너지 대표는 “금번 투자계약을 시작으로 양사가 ESS 및 배터리 분야에서의 기술적, 사업적, 사회적 협력 내용을 더 구체화하여 협력체계를 더욱 공고히 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롯데케미칼은 기존 석화사업의 경쟁력 강화와 더불어 고기능·배터리 소재 분야 진출을 적극 추진 중이다. 지난해 5월 약 2100억 원을 투자해 2023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대산공장 내 전기차 배터리용 전해액 유기용매인 EC와 DMC 생산시설을 건설하기로 했다. 배터리 분리막 소재 사업을 2025년 10만톤, 2000억원 규모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앞서 스탠다드에너지는 지난해 바나듐이온 배터리로 제작한 ESS를 도심 내 급속 전기차 충전기와 연계해 운영하기 위한 실증특례를 받았다. ESS를 전기차 충전기의 보조 전력원으로 활용해 무상 충전서비스를 제공하는 내용이다. 스탠다드에너지는 전기설비기술기준 판단기준상 리튬·나트륨·레독스플로우 계열의 이차전지를 활용한 ESS 기술기준만 있고 바다듐이온 ESS는 기술기준이 없어 관련 인·허가가 불가능해 실증특례를 받게 됐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