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경제사회이사회 특별협의지위기구인 UN SDGs 협회는 글로벌 ESG(Environment 환경·Social 사회·Governance 지배구조) 기준과 원칙, 규정을 총망라해 담은 기업용 ‘ESG 자가진단 키트, SRC’를 20일 발간했다. 국내외 주요 회원사 및 파트너 기업 150곳에 배포된 이번 키트는 지난 7월 11개 글로벌 기준과 217개 항목으로 구성해 선보인 1차 버전에 새롭게 ▲유럽연합(EU) 그린 딜 ▲EU 그린 택소노미(녹색 분류체계) ▲EU 소셜 택소노미 ▲탄소세 설명 ▲파리 기후협약 및 26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설명 ▲ESG 채권 발행과정 등을 비롯해 ▲한국형 ESG 가이드라인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 (K-taxonomy)에 대한 부연 설명도 추가했다. 기업 스스로 EU와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의 ESG 관련 원칙과 규정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됐으며, 국내 규정과 현황도 함께 살펴볼 수 있도록 제작된 점도 특징이다.
이번 키트는 해마다 7월 UN SDGs 협회가 글로벌 금융시장 및 주요 투자 금융사에 ESG 우수기업으로 추천하는 ‘SRC 리스트’의 바탕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SRC는 협회가 발표하는 ‘ESG-SDGs 연계 우수기업 추천 리스트(Statement list of Recommendation ESG Global Corporate Excellence through SDGs)’로써 글로벌 자본시장에 배포된다. 협회와 파트너십을 가진 각 기업은 자가진단 키트를 통해 현재의 ESG 활동이 국제 기준에 부합되는지 살펴볼 수 있고, 이를 토대로 국내외 자본시장 등에서 ESG 우수기업으로 추천받을 수 있게 된다.
SRC 자가진단 키트는 최근 규제 범위가 급속히 확대되는 글로벌 녹색·사회적 규정뿐만 아니라 그린 인플레이션과 사회적 양극화, 일자리 및 고용 문제, 신용회복 신청 급증 등 ESG를 둘러싼 주요 문제에 산업계가 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특히 주요국의 그린 에너지 전환 과정 등이 국내외 산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사회적 경제의 주요 지표 설립에도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특히 이번 키트에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ESG 채권시장과 관련해 녹색 채권, 사회적 채권, 지속가능 채권, 지속가능 연계 채권, 기후 채권 등의 발행과정도 소개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국내에서 약 170조원 규모로 발행된 ESG 채권을 발행하고자 하는 기업에 대한 종합적인 컨설팅도 제공할 수 있도록 했다.
UN SDGs 협회는 자가진단 키트를 통해 자사의 글로벌 ESG 참여 수준을 점검한 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현황을 분석하여 주요 국제 금융기관, 글로벌 자산 운용사 및 기관 투자자 등에 상시 정보로 직접 제공할 계획이다.
이번 업데이트 버전에는 지난 1차에 포함된 ▲유엔 지속가능개발목표(UN SDGs) ▲EU 지속가능 금융 10대 행동계획 ▲EU 택소노미의 6가지 환경목표 및 3가지 판단조건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의 ESG 채권 원칙 및 SDGs 연계 기준 ▲기후 위임 법률 관련, EU 택소노미상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 목표에 기여하는 경제활동 ▲플라스틱 저감 및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조성을 위한 글로벌 기후대응 가이드라인 GRP 인증 ▲국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리우 마커스 ▲EU 기업 지속가능성 보고지침 ▲중국의 택소노미(China’s catalogues) ▲다자간 개발은행(MDB) 공동원칙뿐 아니라 새로운 ESG 회계기준으로 자리 잡을 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ISSB) 설명, COP26 및 6조 조항에 대한 내용, 중소기업에 대한 ESG 가이드, 그린 에너지 전환에서 주목받고 있는 소형모듈원전(SMR)과 관련 기업에 대한 정보도 포함했다.
UN SDGs 협회는 최근 서민금융진흥원과 신용회복위원회 등 정부 유관기관의 ESG 지표 설정에 직접 참여하고 있으며, 생명보험협회 등 각 산업군을 대표하는 경제단체와 산업협회,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인천국제공항공사 등 주요 공공기관의 ESG 컨설팅 및 기고 등도 활발히 진행하면서 정부와 국회뿐만 아니라 국내외 공공 및 산업계에서도 글로벌 종합 ESG 자문기관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SRC ESG 자가진단 키트 업데이트 버전을 통해 녹색산업 전환과 사회적 가치 확대를 위해 노력하는 전 세계 금융기관과 기관 투자자의 흐름을 살펴볼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기준으로 자가진단을 한 기업에 국제적인 정보(EU, 미국 규정)를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ESG 대응과 국내외 주주, 소비자 가치 확산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정훈 UN SDGs 협회 사무대표 unsdgs@gmail.com
*UN SDGs 협회는 유엔경제사회이사회 특별 협의 지위 기구입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