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코로나보다 더 많은 사망자 나온 이 질환은?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11-25 11:40:48 수정 : 2021-11-25 11:54:34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결핵, 작년 1356명 사망…코로나 사망자 922명의 ‘1.5배’
국내 결핵 사망자, 2012년 이후로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
韓, OECD 국가 중 3번째…여전히 결핵 사망자 많이 나와
정부 “취약계층 본격적인 검진 통해 결핵 사각지대 해소”
결핵. 게티이미지뱅크

 

작년에 국내에서 결핵으로 1356명이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망자의 1.5배에 달하는 수치다.

 

정부는 노인·노숙인·쪽방거주자·거동불편 장애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본격적인 검진을 통해 사각지대를 해소하겠다는 방침이다.

 

2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에서 결핵으로 사망한 사람은 1356명으로 국내 코로나19 사망자 922명보다 약 1.5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결핵 사망자는 지난 2012년 이후 꾸준히 감소해 2019년 1610명과 비교해서는 15.8% 감소했다.

 

하지만 한국은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3번째로 결핵 사망자가 많은 국가로 알려졌다. OECD 국가 중 인구 10만명 당 결핵 사망자는 리투아니아(4.6명), 콜롬비아(3.9명)에 이어 한국(3.8명) 순으로 많다.

 

국내 전체 결핵 신규 환자 수와 사망자 수는 2010년 이후 연평균 각각 5.8%, 5.4% 감소했다.

 

지난해 결핵 신규 환자 수는 1만9933명으로 결핵 감시체계를 운영한 이후 처음으로 1만명대에 진입했다. 2010년 3만6305명, 2019년 2만3821며 대비 각각 45.1%, 16.3% 감소한 수치다.

 

결핵 사망자 수는 2017년 1000명대(1816명)로 떨어졌고, 지난해에는 1356명으로 2010년 2365명보다 42.7% 줄었다.

 

결핵은 1990년 사망 원인 7위였고, 2000·2010년에는 1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에는 국내 전체 사망 원인 14위에 올랐다.

 

그러나 65세 이상 사망 비율이 82.5%(1119명)에 달해 결핵 사망자 10명 중 8명 이상이 65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우리나라가 결핵 환자 및 사망 감소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다”고 평가하면서도 “2030년 결핵 퇴치 수준 달성하기 위해서는 더욱더 촘촘한 취약계층 관리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9년 ‘결핵관리강화대책’을 발표하면서 2030년까지 10만명당 결핵발생률을 결핵 퇴치 수준인 10명 이하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질병청은 최근까지 코로나19로 주춤했던 노인·노숙인·쪽방거주자·거동불편 장애인 등 취약계층 대상 ‘찾아가는 결핵검진 사업’을 내년에는 본격적으로 추진해 검진 사각지대를 없애겠다고 밝혔다.

 

또 결핵 의심환자가 코로나19 영향 없이 안심하고 필요할 때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결핵 진단·치료 민간·공공 협력사업(PPM)을 강화하기로 했다.

 

65세 이상 어르신에게는 결핵환자 진단 시 완치까지 맞춤형 서비스를 연계해 제공함으로써 완치율을 높이고 사망률을 낮출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