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모찬스’가 낳은 MZ세대 양극화…'계층 사다리'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입력 : 2021-10-11 18:05:13 수정 : 2021-10-11 22:05:49
세종=안용성 기자 ysah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소득분위간 자산격차 더 커져
상위 20%가 하위 20%의 35배

20·30대 젊은 층 내에서도 빈부 격차가 심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이들 세대 상위 20%의 자산 총액이 하위 20%의 35배가 넘었다. 이들의 자산 격차 확대는 능력을 기반으로 한 소득 차이가 아닌 ‘부의 대물림’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11일 더불어민주당 김회재 의원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20∼30대 가구주의 평균 자산은 3억1849만원이었다. 이는 1년 전과 비교해 2200만원 증가한 수치다. 전체 평균 자산은 늘었지만, 소득분위 간 자산 격차는 확대됐다. 자산 하위 20%인 1분위의 평균 자산은 2473만원으로, 전년 대비 64만원(2.6%)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상위 20%인 5분위의 평균 자산은 8억7044만원으로, 1년 전에 비해 7031만원(8.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자산 5분위 배율은 2019년 33.21에서 지난해 35.20으로 더 커졌다. 5분위 배율은 자산 상위 20%의 평균을 하위 20% 평균으로 나눈 값으로, 배수가 커질수록 불평등도가 악화했다는 뜻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30대보다 자산 격차가 더 컸다. 지난해 20대 가구 하위 20%의 평균 자산은 844만원, 상위 20%의 평균 자산은 3억2855만원이었다. 지난해 하위 20%의 평균 자산은 전년 대비 115만원(11.9%) 감소한 반면, 상위 20%의 평균 자산은 817만원(2.5%) 증가했다. 이에 따라 2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은 2019년 33.42에서 지난해 38.92로 악화했다. 지난해 30대 가구의 자산 5분위 배율 23.82와 비교해도 크게 높은 수치다.

자산과 달리 소득 격차는 20대가 30대보다 더 작았다. 지난해 20대 가구의 자산분위별 소득은 상위 20%의 평균 경상소득이 5262만원, 하위 20%의 평균 경상소득은 2145만원이었다.

김 의원은 “20대 가구의 자산 격차가 소득 차이가 아닌 부의 대물림 때문이라는 점이 간접적으로 드러났다”며 “우리 사회가 양극화 해소를 위해 머리를 맞대고 조속히 해결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피니언

포토

손예진 'BIFF 여신'
  • 손예진 'BIFF 여신'
  • 아이들 슈화 '반가운 손인사'
  • 신예은 '매력적인 손하트'
  • 김다미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