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직 중 스스로 목숨을 끊는 젊은 소방관들이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소방청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이영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재직 중 스스로 목숨을 끊은 소방공무원은 2016년 6명, 2017년 15명, 2018명 9명, 2019년 14명, 2020년 12명 등 한해 평균 11.2명 정도다. 올해는 8월 말까지 10명의 소방관이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이들 소방관의 평균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 재직 중 목숨을 끊은 소방관의 평균 연령은 2016년 45.7세에서 2018년 42.4세, 2020년 41.8세로 점차 낮아졌는데 올 1∼8월엔 36.9세까지 낮아졌다. 극단적인 선택을 한 20∼30대 소방관 비중은 2016년 33.4%에서 올해 70.0%로 급증했다.
소방직은 자살이나 순직 등 재직 중 사망한 공무원들 가운데 평균 연령이 가장 낮은 편이었다. 공무원연금공단이 이 의원에게 제출한 ‘2016∼2020년 공무원 직종별 재직중 사망자 평균연령’ 자료를 보면 법관·검사는 43세, 소방직은 45세였다. 이어 기능직 47세, 경찰직·공안직 48세, 교육직·일반직 49세, 기타(군무원·연구직·외무직 등) 50세, 별정직 59세 순이었다.
하지만 법관·검사의 경우 재직 중 사망자가 최근 5년간 14명에 불과하고 소방직은 같은 기간 163명이라는 점에서 재직 중 사망자 평균 연령은 소방직이 가장 낮다고 볼 수 있다. 소방관들은 평균 수명도 짧았다. 공무원연금 수급자의 평균 연령을 직종별로 살펴보면 소방직은 70세에 불과했고, 이어 공안직(74세), 경찰직·기능직·일반직(각 75세) 등의 순이었다. 법관·검사는 77세였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