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령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총괄조정팀장은 9일 중앙방역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개발된 치료제의 정확한 효과나 자료들을 검토한 후, 치료제의 긴급도입이 그로 인한 위험(리스크)을 상쇄할 경우 검토할 수 있다"고 이 같이 말했다.
기존 코로나19 치료제는 모두 주사제로 병원에서만 의사 처방아래 맞을 수 있다. 만일 신종플루(독감) 약인 타미플루처럼 먹는 형태(경구용)의 코로나19 치료제가 나오면 이는 코로나19 '게임체인저'가 된다.
병에 걸린 듯 하면 의사 처방아래 가정에서 먹고 치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다국적 제약사 3곳이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선두로 나서고 있다. 미국 머크와 화이자, 스위스 로슈가 각각 항바이러스제를 개발하고 있다.
방역당국은 먹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상용화돼 도입된다면, 유행·전파 차단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하지만 현재까지 의약품 규제당국에 승인받은 치료제가 없어, 유행에 미칠 영향은 지켜봐야 한다고 부연했다.
정 팀장은 "효과적인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가 개발된다면, 유행 차단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기대는 하지만 현재까지 승인(허가)을 받은 치료제는 없어 효과를 봐야 하고, 유행에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가능성을 열어놓고 선구매 협상에 임하고 있다. 어느 정도의 수량을 구매할지, 예산 등을 논의 중이다. 진행상황은 진전될 때 상세히 이야기하겠다"고 덧붙였다.
또, 정 팀장은 "경구용 치료제가 유행확산 저지와 환자 치료에 도움된다면 언제든 검토할 수 있다. 치료제 효과나 자료를 검토한 후, 긴급도입 효과가 위험을 상쇄할 경우 긴급도입을 검토할 수 있겠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브리핑 이후에 "(의약품 긴급승인은) 식약처의 사안이며, 방역 관점에서 긴급히 사용할 필요성이 있는지는 별도로 검토할 수 있겠다는 의미"라고 부연 설명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