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젠 서울 시내버스에서 현금 요금함이 사라질 전망이다.
22일 서울시는 오는 10월부터 일부 시내버스를 대상으로 현금 요금함을 없애겠다고 밝혔다.
시는 내년 3월까지 6개월간 시내버스 2개 회사 8개 노선 171대 버스에서 시범 운영할 예정이다. 이는 서울시내 전체 버스 7000여대의 2.4% 수준이다.
아울러 버스카드가 없는 시민들을 위해 버스 정류장에서 모바일 교통카드를 즉시 발급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다.
전면 시행 여부는 6개월간 시범 운영이 끝나면 결과를 살펴보고 정하기로 했다.
현금승차 폐지는 위생, 효율성, 안전 등 3가지 이유에서 추진한다. 시는 현금 승차를 없애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의 전파를 줄일 수 있다고 예상한다.
또한 현금 수입금을 관리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도 절감, 버스 운전기사가 운행 중 잔돈 지급을 위해 단말기를 조작할 때 생기는 안전사고 위험 역시 줄일 수 있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시에 따르면 시내버스 현금 이용자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2010년 5.0%에서 2019년 1.0%로 내려갔고 지난해 0.8%를 기록, 향후 5년 내 0.1% 안팎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라고 보고 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