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남원 귀농·귀촌 인구가 다양한 맞춤형 지원 정책에 힘입어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남원시가 최근 발표한 귀농·귀촌 실태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귀농·귀촌 인구는 445가구에 567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95가구 387명보다 150가구(50.9%) 180명(46.5%)이 증가한 것이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남원시가 올해 목표로 한 귀농·귀농 인구 1000명을 무난히 달성할 전망이다. 최근 5년간 남원에 정착한 귀농·귀촌인은 총 3502가구 4904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상반기 남원 지역 귀농·귀촌 인구를 보면 서울·경기 등 수도권 유입이 141가구(31.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북 내 124가구(27.9%)로 분석됐다. 나머지는 인접한 전남(35가구), 경남(34가구)를 비롯해 전국 각지가 고루 분포했다.
연령별로는 비교적 활동성이 강한 40대 이하 청장년층이 39%(221명)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해 농촌사회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귀촌 인구 증가는 맞춤형 정책이 밑거름이 된 것으로 풀이된다.
남원시는 정착 초기 소득기반이 부족한 귀농·귀촌인들을 위해 이사비(100만원)와 주택 수리비(500만원), 자녀 정착금(50만원)을 지원한다. 귀농인을 위한 창업자금(최대 3억원)과 주택자금(7500만원)도 융자 지원한다.
예비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게스트하우스(2호)와 체재형 가족실습농장(10호)을 운영하며, 예비 귀농인 거주시설로 ‘귀농인의 집’(7개소)를 제공한다.
특히 올해는 ‘남원시 농촌 살아보기’와 체재형 가족실습농장을 활용한 장기 영농 교육 프로그램을 추가로 운영해 호응을 얻고 있다. LH와 협력해 귀농·귀촌인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운봉, 인월, 사매 지역에 공공 임대주택 건립에 나섰다.
이환주 남원시장은 “베이비부머들의 은퇴와 코로나19 영향으로 귀농·귀촌에 대한 도시민의 관심이 늘어나 예비귀농·귀촌인 선호 지역으로 급부상하고 있다”며 “예비 귀농·귀촌인들의 안착을 위해 수요자 맞춤형 지원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