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코로나가 부른 무인화·고용쏠림·장기실업… 향후 고용회복 큰 걸림돌될 듯”

입력 : 2021-07-21 20:00:00 수정 : 2021-07-21 19:36:10
조희연 기자 cho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한은 ‘노동시장의 이슈’ 보고서
“고착화 되기전 선제대응 필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 나타난 ‘무인화’와 ‘고용집중’, ‘구직단념’ 현상이 향후 고용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1일 ‘코로나19의 상흔:노동시장의 3가지 이슈’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3대 요인을 고용 불안 요소로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면서비스업 중 자동화 확률이 70% 이상인 ‘자동화 고위험’ 직업군의 2020년 10월 취업자 수는 2017년 4월 대비 10.8%나 감소했다. 같은 기간 자동화 확률이 70% 미만인 자동화 저위험 직업군 취업자 수가 2.4%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한은은 코로나19로 대면서비스업의 타격이 증폭됐다고 설명했다. 최근 인력 채용 대신 키오스크를 설치하는 사업체가 늘고 있는데, 코로나19를 극복해도 업체가 로봇 사용을 지속하면, 일자리는 회복되지 않을 수 있다.

코로나19는 300인 이상 사업체의 고용 집중도 불러왔다. 300인 이상 사업체 고용은 올해 6월 기준으로 지난해 2월보다 6.4%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3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체 고용은 0.8% 감소했다.

소수 대형기업에 고용이 집중되면 해당 기업은 규모의 경제를 바탕으로 시장의 진입장벽을 높일 수 있고, 신규기업의 진출은 어려워질 수 있다. 신규기업 출현이 어려워지면 고용 창출이 저하되고 고용증가율도 하락할 수 있다고 한은은 경고했다.

장기 실업자 증가세도 우려됐다. 올해 6월 현재 4개월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실업자는 35만7000명으로,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지난해 2월 대비 26.4% 늘어났다.

실업이 장기화하면서 구직을 포기하는 비율도 높아지고 있다. 2019년 1월부터 올해 2월까지 구직기간 3개월 이내의 단기실업자 중 구직을 단념하는 비율은 11.9%에 그쳤지만, 장기실업자는 두배에 가까운 21.1%나 됐다.

한은은 경력 공백이 길어질수록 나쁜 ‘낙인효과’가 발생해 취업이 더 어려워지는 것으로 해석했다.

한은 고용분석팀 송상윤 과장은 “중장기적으로 고용회복을 제약할 수 있는 요인들이 구조적 문제로 고착되지 않도록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조희연 기자 cho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
  • 박규영 ‘반가운 손인사’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