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까지 총 40조6000억 투자
20조원은 이차전지 R&D에 투입
文대통령 “배터리, 미래산업 중심”
금융·세제 혜택 등 정부지원 약속

배터리 기업들이 2030년까지 40조원 이상을 투자해 이차전지 점유율 세계 1위에 도전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8일 충북 청주시 LG에너지솔루션 제2공장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전략’ 보고회에 참석해 “2030년까지 ‘명실상부한 배터리 1등 국가’가 되겠다”며 정부 지원을 약속했다. 문 대통령은 “배터리는 미래산업의 중심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반도체가 정보를 처리하는 두뇌라면 배터리는 제품을 구동시키는 심장과 같다”면서 “전기차를 비롯해 미래 수송 수단의 핵심이 될 배터리 기술의 발전은 한국 경제를 선도형 경제로 전환시키는 핵심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 5월 K-반도체 전략에 이은 두 번째 글로벌 산업전략 발표다.
정부는 민간 투자를 뒷받침하고, 대규모 연구개발을 진행하며 세제 혜택과 금융을 지원한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이차전지 3사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 30여곳은 2030년까지 총 40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이 가운데 20조1000억원은 이차전지 연구개발에 투입된다.
이차전지의 연구·실증을 종합 지원하는 ‘차세대 배터리 파크’와 이차전지 연구개발 혁신펀드도 조성된다. 총 800억원 규모로, 국내 이차전지 중소·중견 기업의 연구개발 지원에 쓰인다. 이차전지 핵심기술에 관한 연구개발비는 40∼50%, 시설 투자는 최대 20%의 세액 공제 혜택도 주어진다. 이 밖에도 매년 배터리 전문인력 1100명을 양성하고, 전국 4개 권역에 폐배터리 수거센터도 구축한다.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날 “배터리는 미래를 이끄는 핵심 산업인 만큼 반도체에 버금가는 주력산업으로 키우기 위해 전방위적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종현 LG에너지솔루션 사장은 이날 “향후 10년간 총 15조1000억원을 국내에 투자하고 8000개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등을 위한 생산기술 확보 및 라인 증설에 12조4000억원, 첨단 소재기술 개발 및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에 2조7000억원을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