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연예인 화보' 혹은 '반전 소름'…학폭 포스터 효과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입력 : 2021-05-01 16:00:00 수정 : 2021-05-01 07:31:5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연예인 화보’ 논란 인천교육청 학폭 포스터와 부산경찰청의 ‘소름끼치는 반전’ 포스터
인천시교육청의 학교폭력·자살 예방 포스터.

연예계와 스포츠계에서 학교폭력(학폭) 폭로가 잇따르면서 각급 교육청과 경찰청에서 학폭 예방 및 신고 포스터를 제작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포스터는 학폭에 대한 경각심을 주기보다는 연예인 화보 같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인천광역시교육청이 지난 29일 학교폭력·자살 예방 메시지를 담은 ‘우린 널 믿어’ 캠페인 포스터를 공개하자 엇갈린 반응이 나오고 있다.

 

2편으로 제작된 포스터에는 시교육청 홍보대사인 가수 겸 배우 옹성우 얼굴이 흑백처리돼 포스터를 가득 채우고 있다. 첫편은 옹성우의 단호한 표정 아래 ‘하지마 #학교폭력 #사이버폭력 #자살’이 적혀있다. 두번째 편은 그의 웃는 표정과 함께 ‘전화해 #117 #1388 #선생님’이라는 내용이 담겼다.

 

시교육청은 “‘하지마’ 포스터는 학교폭력, 극단적 선택 등 행동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전화해’ 포스터는 혼자가 아니라는 메시지를 전달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포스터 공개 직후 “연예인 얼굴만 보이고 메시지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는 것 같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누리꾼들은 “학폭사건의 심각성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포스터”, “글자는 눈에 안들어오고 연예인 얼굴만 보인다”, “목적을 잃은 콘텐츠”, “연예인 화보인줄 알았다” 등의 비판이 나왔다.

 

반면 “경각심을 일으키기 위해 꼭 살벌하게 만들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려야한다”, “학생 입장에서 보기에 괜찮은 것 같다”, “그나마 연예인 얼굴이 있으니 보게 된다”는 긍정적인 평가도 있었다. 판에 박힌 계몽 포스터로 외면받는 것보다 연예인 사진으로 청소년들의 관심을 환기시키는 것이 메시지 전달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한 중학교 교사는 “포스터에 연예인의 사진이 너무 부각되다보니 학폭 예방이라는 메시지가 잘 보이지 않는 것 같다”면서도 “포스터의 타깃층이 학생들인만큼 학생들의 관심이나 취향에 맞추는 것도 중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인천교육청의 포스터가 학교폭력의 가해자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포스터라면, 교사와 학부모 등 주변 어른의 관심을 촉구하는 선명한 메시지로 화제를 모은 포스터도 있다.

 

부산지방경찰청이 2016년 4월에 제작한 학폭 신고 포스터는 5년이 지난 지금도 인터넷 카페와 블로그 등에서 공유되며 호평을 받고 있다.

 

부산지방경찰청의 학교폭력 신고 포스터.

2장짜리 포스터의 첫 장면은 ‘함께 있을 때, 우린 두려울 것이 없었다’는 문장 아래 중학생 정도로 보이는 두 남학생이 교복을 입고 웃으며 어깨동무를 하고 있다. 그러나 두번째 포스터에선 ‘너무나 두려웠다. 함께 있을 때...’라는 글귀 아래 두 학생의 뒷모습이 반전의 충격을 준다. 위 포스터에서 어깨동무를 하는 것으로 보였던 남학생이 사실은 친구의 머리칼을 움켜쥐고 있고, 피해자로 보이는 학생은 셔츠 허리 부분도 찢겨져 있다. 

 

겉으로는 잘 어울리는 친구로 보이지만, 안보이는 곳에서 옷이 찢어질 정도로 폭행을 당하고도 신고하지 못한채 아무렇지 않은 척 할 수 밖에 없는 피해학생의 잔인하고도 안타까운 상황을 함축한 것이다. 여기에 ‘무관심에 아이가 닫힙니다’라는 문구로 어른들의 적극적인 관심을 촉구했다. 

 

이 포스터를 본 누리꾼들은 ‘생각지도 못한 반전에 경각심이 확 든다’, ‘포스터만 봐도 가슴이 아프다’,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포스터다’ 등 호평을 쏟아냈다.

 

김수미 기자 leol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민 ‘매력적인 미소’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