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류마티스 환자, 코로나19 백신 괜찮을까? [Q&A]

관련이슈 이슈키워드

입력 : 2021-04-15 13:38:03 수정 : 2021-04-15 16:49:5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접종해도 무방…중증 류마티스 환자는 접종 시기 등 고려해야”
“고용량 스테로이드·생물학적 제제 주사, 백신 효과 낮출 수 있어”
“치료 종료나 휴약 후 맞아야…메토트렉세이트, 1~2주 휴약 필요”
4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내 강의실에서 의료진이 코로나19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평소 면역체계 이상으로 치료를 받는 류마티스 질환 환자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아도 될까?

 

류마티스 질환이 있다고 해서 특별히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못할 이유는 없다는 것이 전문가의 의견이다. 다만 중증의 류마티스 질환을 앓고 있다면 백신 접종 시기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 류마티스내과 허진욱 교수는 15일 “일반적으로는 류마티스 질환이 있다고 해서 코로나19 백신을 맞지 못할 이유는 없다”라며 “현재 발열이나 감염 등의 증상이 없다면 일반인들과 동일하게 백신을 맞아도 된다”라고 밝혔다.

 

허 교수는 ‘백신을 맞으면 류마티스 질환이 악화할 수 있다’는 소문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외국 연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백신을 맞는다고 해서 류마티스 질환이 악화하는 것은 매우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라며 “백신 자체와 관련된 알러지나 부작용을 제외하고 질병이 악화할 가능성은 낮다”라고 일축했다.

 

다만 허 교수는 “류마티스 질환 환자 중에서도 코로나19 백신을 맞으면 안되는 경우가 있다”라면서 주의할 점을 설명했다.

 

먼저 중증의 류마티스 질환을 앓고 있다면 백신 접종 시기 등을 고려해야 한다. 중증 류마티스 환자들은 고용량의 스테로이드를 복용하거나, 리툭시맙‧아바타셉트 등 생물학적 제제 주사치료를 하는 경우가 있다. 

 

허 교수는 “이러한 약제들은 백신을 맞은 후 항체 생성에 영향을 줘 백신 효과를 낮출 수 있다”며 “따라서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가 끝나거나 생물학적 제제 주사를 휴약 후 백신을 맞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는 환자는 담당 주치의와 반드시 상의 후 접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예방 접종 시 면역억제제를 포함한 대부분의 항류마티스 약제들은 복용 중지나 변경할 필요가 없지만, 메토트렉세이트를 복용하는 경우에는 백신 주사 후 1~2주 휴약하는 게 좋다. 

 

아울러 허 교수는 “현재 코로나를 예방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백신을 맞는 것이므로 당연히 환자들에게도 백신 투여가 필요하다”라면서 “류마티스 질환이 있다고 일반인보다 백신 접종을 과도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 백신 접종 전에 현재 질병 상태와 치료 약제를 잘 확인한 뒤 맞으면 된다”라고 말했다.

 

이승구 온라인 뉴스 기자 lee_owl@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