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 받은 與, 비상체제 전환론 탄력
민심 이반 심각 분석… 이해찬 소환론도
원내대표 조기경선으로 직무대행 거론
민심 얻은 野, 비대위 연장론 ‘솔솔’
총선참패 설욕 국민의힘 지도부 교체 앞둬
김종인체제 유지 vs 당 정상화 의견 갈려

‘대선 전초전’인 4·7 재보궐선거를 치른 여야는 모두 새 지도부 선출 등 ‘물갈이’를 통해 본게임인 내년 3월 대선을 위해 일대 혁신을 추진할 태세다.
7일 서울·부산 수성에 실패한 더불어민주당은 당 안팎에서 제기되는 ‘비상체제 전환론’이 더욱 탄력을 받을 예정이다.
당초 일정대로라면 민주당은 지난달 9일 당시 이낙연 대표가 물러나면서 당헌에 따라 오는 5월9일까지 전당대회를 열어 새 대표를 선출해야 한다. 당대표 후보군으로는 송영길, 우원식, 홍영표 의원 등이 거론된다. 지난달 24일 이들은 4·7 재보선이 끝날 때까지 당대표 선거 운동을 중지하고 선거 승리를 위해 헌신하자는 ‘신사협정’도 맺은 바 있다.
그러나 민주당 안팎에선 재보선 과정에서 드러난 심각한 민심 이반을 되돌리기 위해서라도 비상대책위를 가동해 차기 대선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이 선거 전부터 흘러나왔다. 구체적으로 이해찬 전 대표가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이해찬 소환론’까지 제기되고 있다. 출구조사 참패 소식이 전해진 뒤 당내에선 올해 8월까지 임기가 보장된 최고위원을 포함한 ‘지도부 총사퇴론’이 우후죽순 쏟아지고 있다.
당 내에선 집권여당의 비대위 전환은 어색하다는 의견도 있다. 여권 관계자는 통화에서 “비대위에 준하는 쇄신책을 보여줄지언정, 전당대회까지 엎어버리는 것은 과하다”고 말했다. 당헌상 비대위는 공식 기구가 아닌데다, 당헌에 따른 전당대회를 무시하기엔 부담이 크다는 입장이다. 앞서 민주당이 ‘당 소속 지자체장의 귀책으로 보궐선거가 발생하면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 당헌·당규를 개정해 서울·부산시장 선거에 참여한 전력도 걸림돌이다.
이에 원내대표 경선을 앞당겨 원내대표가 당 대표 직무대행을 하거나, 전당대회 전까지 한달여만 비대위를 가동하는 절충안도 거론된다. 원내대표에는 윤호중, 안규백, 김경협, 박완주 의원이 도전장을 낼 것으로 보인다.
당대표와 원내대표 선거 모두 핵심 키워드는 ‘정권 말기’와 ‘대선’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남은 임기 동안 당·정·청 ‘원팀’ 기조로 국정을 뒷받침하며 안정적인 권력 이양을 목표로 하는 친문(친문재인) 주자, 대선을 고려해 중도층으로의 외연확장이 유리한 통합형 주자 등이 대결구도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1년만에 총선 참패를 설욕한 국민의힘도 지도부 교체가 예정돼 있다. 당 일각에선 선거를 승리로 이끈 김종인 비대위원장 체제를 유지하자고 주장하지만,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당권 주자나 대선 후보군들이 당 정상화 명분을 앞세워 비대위 연장론에 반발하고 있다. 차기 당대표에는 주호영 원내대표, 정진석·서병수·조경태·홍문표·윤영석 의원 등이 거론된다.
국민의힘은 8일 김 위원장 퇴임 직후 의원총회를 열 예정이다. 현재처럼 당 대표가 사실상 전권을 갖는 ‘단일 지도체제’를 유지할지, 대표와 최고위원들이 협의하는 ‘집단 지도체제’로 바꿀지 등을 놓고 격론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지도체제에 대한 의견이 모인다면 오는 12일 열리는 비대위에서 전당대회 준비위 구성을 의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5월 중 새 지도부를 꾸려 차기 대선을 준비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동수 기자 d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