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섬집아기’가 노래방 3위?… KT, 2020 기가지니 ‘말해랭킹’

입력 : 2020-12-30 10:49:43 수정 : 2020-12-30 10:49:42

인쇄 메일 url 공유 - +

코로나19가 바꾼 일상 트렌드 주목

 

KT가 AI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들의 발화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올 한 해 대한민국에서 가장 뜨거웠던 화두는 단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었다.

 

서비스 통계 분석에서도 집에서 여가를 즐기는 시간이 증가한 결과가 눈에 띄었다.

 

KT는 2020년 AI 서비스 기가지니의 270만 사용자들의 대화를 종합해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하고, 지난해에 이어 ‘2020년 기가지니 말해랭킹’을 이날 공개했다.

 

KT는 2020년 기가지니의 월평균 발화량이 전년대비 63% 증가한 것으로 파악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AI 스피커를 더 자주 이용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올해 가장 발화량이 많이 증가한 키워드는 ‘코로나’, ‘트로트’, ‘BTS’, ‘기생충’, ’넷플릭스’로 나타났다.

 

◆홈 서비스 사용량 전년대비 증가… ‘집콕’ 증가 영향

 

 

 

변화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기가지니 이용 패턴도 홈 서비스 위주로 나타났다. 헬스장 이용이 어려워지며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3월부터 현재까지 ‘홈트레이닝’ 관련 발화량이 전년 대비 87% 증가했다.

 

집에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운동에 대한 니즈를 반영하듯 ‘요가(113.7%)’, ‘스트레칭(102.6%)’, ‘필라테스(96.5%)’와 관련된 발화가 전년대비 크게 상승했으다.

 

건강과 체중에 대한 염려가 구체화되며 ‘다이어트(48.5%)’, ‘복근(68.0%)’ 관련 발화도 증가했다.

 

집에서 가볍게 즐기는 ‘스낵게임’도 늘었다. 끝말잇기, 나라 맞히기, 난센스퀴즈 등의 스낵게임은 2019년 대비 이용량이 128% 상승했다. 특히 끝말잇기 서비스는 인기 TV 프로그램 ‘나 혼자 산다’에 등장해 평시 대비 10월 이용량이 173% 증가했다.

 

◆빅데이터가 알려준 ‘2020 키워드’… AI ‘랜선 육아’ 주목

 

 

 

‘핑크퐁 칭찬하기’, ‘소리동화’, ‘스콜라스틱 AI튜터’ 등 기가지니 대표 서비스 중 하나인 키즈 서비스는 이용량이 전년대비 140%나 상승했다. 코로나19 상황으로 가정 보육이 많아지면서 놀이와 교육을 위해 다양한 AI 키즈 서비스를 이용한 결과다.

 

기가지니 노래방 서비스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된 8월 이후 상반기 대비 이용량이 61% 증가했다. 트로트와 가요 외에도 자장가로 주로 애용되는 동요인 ‘섬집아기’가 타 인기곡들을 제치고 3위에 오르기도 했다. 

 

연간 순위 1위는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 향이 느껴진 거야’, 2위 ‘아로하(슬기로운 의사 생활 드라마 OST)’였다.

 

◆VOD: 예능이 키즈콘텐츠 앞질러… AI 사용자 저변 확대

 

코로나로 인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는 고객의 음악, VOD 등 미디어 활용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확인했다.

 

2019년 음성으로 VOD를 실행한 건수 톱(Top) 10 장르는 각각 키즈 5편, 예능 5편이었으나, 2020년에는 예능이 7편에 키즈가 3편으로 순위가 역전되어 성인들이 많이 시청하는 예능이 강세를 보였다.

 

VOD 실행 콘텐츠 순위에선 이러한 경향이 더욱 두드러진다. 2019년 VOD 실행 1위는 압도적으로 ‘뽀로로’였고, 이어 ‘나는 자연인이다’, ‘맛있는 녀석들’ 순이었다. 하지만 올해는 ‘맛있는 녀석들’, ‘런닝맨’, ‘나는 자연인이다’가 1위에서 3위를 차지하고 뽀로로는 4위로 떨어졌다.

 

KT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집 안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아이들뿐 아니라 직장인과 학생 등 기가지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성인 연령층이 많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 트로트와 기생충, 넷플릭스 등… 2020년 휩쓴 대중문화 키워드

 

지난해부터 열풍을 불러 일으킨 트로트는 올해 식지 않는 인기를 자랑했다. VOD의 경우 2019년 미스트롯의 이용량 대비 2020년 미스터트롯의 VOD 시청 건수는 376%나 증가했다.

 

음악감상에서도 트로트의 인기를 실감케 했다. 기가지니 출시 초부터 항상 가장 높은 순위를 자랑하는 ‘동요’ 카테고리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는 중 트로트 가수의 순위가 소폭 상승했다.

 

2019년 인기 뮤지션에는 트로트 가수가 홍진영(6위), 나훈아(9위)가 자리했으나 금년도에는 ‘나훈아’(4위) ‘임영웅’(6위), ‘영탁’(7위) 3명의 뮤지션이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영화 ‘기생충’과 관련된 대화는 지난 2월 아카데미 수상 시점에 평월 대비 472% 상승했다.

 

관련 발화 순위는 1위 기생충, 2위 봉준호 감독, 3위 송강호 4위 오스카상, 5위 조여정 순이었다.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감독이나 배우 등 관련 정보 탐색으로까지 확장되는 모습을 보인 것이다.

 

하반기에는 기가지니로 넷플릭스를 감상할 수 있게 되면서 넷플릭스가 새로운 키워드로 떠올랐다. 프로야구에 대한 대화도 지난해 대비 48%가 증가했다.

 

올해 무관중 경기가 계속되며 집에서 야구경기를 시청하는 팬들이 늘었기 때문이다. 특히 KT 위즈의 첫 포스트시즌 진출로 7~11월의 KT 위즈 관련 대화는 전년 대비 194% 늘었다.

 

KT AI/BigData사업본부장 최준기 상무는 “올해는 코로나19라는 특수 상황에 따라 집콕생활이 늘면서 기가지니를 각 가정에서 더욱 적극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해 고객이 즐길 수 있는 더욱 스마트한 AI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사진=KT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