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일 부산 사하구에서 중학생 10명이 원격수업을 마치고 폐장된 다대포해수욕장에 놀러 갔다가 이 중 7명이 바닷물에 빠져 2명이 숨지고 5명이 구조된 사건을 계기로 부산시가 해수욕장 안전을 위해 팔을 걷어붙였다.
부산시는 2025년까지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해수욕장 안전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또 사계절 안전한 해수욕장을 위해 폐장 이후에도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시는 해변이 넓고 폐장 기간 인적이 드문 해변의 경우 안전요원만으로는 사고 대비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 위험지역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안내·경고 방송시스템인 ‘지능형 폐쇄회로(CC)TV’를 설치한다.
지능형 CCTV는 내년 상반기 중 다대포해수욕장과 송도해수욕장에 먼저 설치하고 성과를 분석한 뒤, 2024년까지 부산지역 모든 해수욕장에 도입할 계획이다.
또 다이버와 서핑 등 수상레저 사고도 대비한다. 5G 기술을 이용해 레저객이 착용한 개인 안전장비의 수압과 맥박 등을 감지해 위급상황 발생 시 자동으로 관리자에게 신호를 송출하는 안전플랫폼을 구축한다.
현재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에서 손목시계 형태의 개인용 수중 위험신호 발신기와 지상 수신기 등 안전장비 시스템 개발을 기획 중이다. 내년 3월 국비가 확정되면 본격 개발에 들어가 2025년까지 구축을 완료할 방침이다.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관리시스템과 함께 안전요원을 고정 배치해 연중 해수욕장 예찰 활동을 강화한다. 안전사고 유의 표지판과 위험지역 표지판 보강과 너울성 파도 및 입수 주의를 당부하는 안내방송도 시행한다.
기존 해운대와 송정해수욕장에만 배치된 자격증을 갖춘 수상구조요원을 부산지역 7개 해수욕장에 확대 배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해수욕장 입수 가능 시간을 일몰 전까지 제한하는 ‘해수욕장법’ 개정도 정부에 건의해 놓은 상태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첨단기술을 활용한 안전사고 예방시스템을 도입하면 너울성 파도와 해일, 풍랑 등 기상 악화로 인한 사고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해수욕장 폐장 이후에도 시민안전을 챙겨 안전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