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T사설] A path to a new Cold War (1)

관련이슈 WT사설-논단

입력 : 2020-09-13 23:22:46 수정 : 2020-09-13 23:22:44

인쇄 메일 url 공유 - +

By Daniel N. Hoffman (columnist)

During his Senate confirmation hearing last week to be the next director of national intelligence, Texas Republican Rep. John Ratcliffe emphasized China is this country’s “greatest threat actor,” a status only confirmed by rising acrimony over Beijing’s handling of the coronavirus pandemic.

But though tensions are rising in the South China Sea, an actual war between the two powers appears unlikely. But are the United States and China on a path to a new Cold War?

The heart of U.S.-China conflict is in the realm of ideas. Democratic principles of liberty and pluralism are antithetical to China’s autocratic Communist state and Chinese President Xi Jinping’s expanding cult of personality.

Through its ubiquitous state surveillance and “Great Firewall” on online dissent, China seeks to deny its citizens freedom of expression and access to the outside world.

Not known for its accuracy, objectivity or independence, Chinese media are subject to constant review by the Communist Party’s Propaganda Department. Reaching new heights of servility under Mr. Xi, state-controlled press outlets exist to preserve the regime’s power in China, repress freedom of expression and whitewash China’s increasingly discredited global reput.

Few things scare Mr. Xi more than the democratic ideals enshrined in the U.S. Constitution and Bill of Rights - their application in China would mean that the party was living on borrowed time.

Meanwhile, the coronavirus has exposed the fault lines between democratic nations and China. Deliberately concealing the outbreak and severity of the coronavirus outbreak, China continues to censor criticism and pressure other nations to adhere to its outlandish propaganda claims.

 

새로운 냉전의 길 (1)

 

대니얼 N 호프먼(칼럼니스트)

 

차기 국가정보국장 임명을 위한 지난주 미국 상원 인준 청문회 때 텍사스 공화당 출신인 존 래트클리프 하원의원은 중국이 이 나라에 대한 “가장 큰 위협 행위자”라고 강조했는데 이런 상황은 베이징의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처리에 대해 점증하는 악감정에 의해 확인될 뿐이다.

 

그러나 남중국해에서 긴장이 고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강대국 간의 실제 전쟁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은 새로운 냉전의 길로 가고 있는가.

 

미·중 갈등의 핵심은 이념의 영역에 있다. 자유와 다원주의에 관한 민주주의 여러 원칙은 중국의 독재적인 공산주의 국가 및 국가주석 시진핑의 개인숭배 확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국가의 전면적인 감시와 온라인의 반대의견을 막는 “방화벽 만리장성”을 통해서 중국은 자국 시민들의 표현의 자유 및 외부세계와의 접촉을 거부하는 정책을 추구하고 있다.

 

정확성과 객관성 및 독립성과는 거리가 먼 중국 언론매체들은 공산당 선전부의 끊임없는 감시 아래 놓여 있다. 시진핑 통치하에서 굴종이 최고조에 달한 국가통제 언론 창구들은 중국 내에서 정권의 권력을 유지하고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며 중국의 점점 심해지는 국제적 신뢰 악화를 눈가림하기 위해서 존재한다.

 

미국 헌법과 권리 장전에 명시된 각종 민주적인 이상보다 시진핑이 더 두려워하는 것은 별로 없으며, 그 같은 이상을 중국 내에 적용하는 것은 중국 공산당이 과분하게 오래 살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코로나바이러스는 민주국가들과 중국 사이의 단층선을 노출시켰다. 발생 사실과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의 심각성을 고의로 숨긴 중국은 계속해서 비판을 검열하고 다른 나라들이 중국의 이상한 선전용 주장에 따르도록 압력을 가한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