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28일) 서울을 비롯한 중부 지방에서 원형 무지개인 ‘해무리’가 발견됐다.
해무리는 공기 중 수분이 많은 날 햇빛이 대기 중 수증기에 산란하면서 만들어지는 일종의 무지개다.
해무리는 원래 햇무리(햇빛이 대기 속의 수증기에 비치어 해의 둘레에 둥글게 나타나는 빛깔이 있는 테두리)의 북한어다. 또 ‘결코 죽지 않는다’라는 영원불멸의 의미와 함께 행운을 의미로 해석하는 이들도 있다.
이날 발견된 해무리에 대해 기상청은 “높은 고도에 구름이 많이 끼면서 빛을 굴절시키는 수증기량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했다.
최서영 온라인 뉴스 기자 sy202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