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전국 초중고교의 개학을 4월로 재차 연기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르면 오늘 연기 여부에 관한 결정을 발표한다고 한다. 개학이 이미 두 차례 연기됐지만, 여전히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이어지는 상황이라 개학을 연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교총은 “지금 같은 지역사회 감염 추세가 이어진다면 개학 연기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학부모단체들도 “학생 안전을 볼모로 잡아 개학을 강행하는 모험을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여론조사 결과, ‘개학을 더 늦춰야 한다’는 응답이 67.5%였다. 그만큼 학생들의 안전에 대한 우려가 크다.
지금까지 0∼18세 확진자는 총 517명에 이른다. 교직원 확진자도 90여명이다. 이런 상황에서 개학은 감염병 대책의 핵심인 ‘사회적 거리 두기’에 정면으로 반한다. 수십 명의 학생이 종일 붙어서 생활하고, 단체급식을 하는 학교는 감염병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섣불리 개학했다가 학교에서 집단으로 확진자가 나오면 그 후폭풍은 걷잡을 수 없을 것이다. 방역당국도 “소아·청소년 연령층이 발병률은 낮지만 전파 과정에서는 증폭 집단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기모란 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장은 “개학을 하려면 세밀한 지침이 필요한데 하루아침에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했다.
개학 연기에 따라 파생되는 문제는 한두 가지가 아니다. 교육 당국과 학생들 입장에서는 내신 성적과 대학입시 일정이 큰 걱정이다. 중간고사 생략에 따른 수시모집 전형 혼란과 수능 등의 차질도 우려된다. 일각에서 고교는 개학 연기 대상에서 제외하자는 얘기가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맞벌이와 한부모 가정을 위한 돌봄 대책뿐 아니라 방과후 강사, 급식조리사 등 학교 비정규직에 대한 생계 지원도 큰 문제다. 현장의 혼란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완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개학 연기에 따른 현실적인 문제는 많지만 그 어느 것도 학생들의 건강과 안전에 우선할 수 없다. 학생들이 안심하고 학교에 갈 수 있을 때까지 개학을 연기하는 게 바람직하다. 4월 초로 개학이 연기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최악의 경우 개학 연기가 더 늦춰질 가능성도 염두에 둬야 한다. 힘들고 답답하지만 조금 더 견뎌서 코로나19 확산의 불씨를 꺼야 한다. 교육 당국은 개학 연기에 따른 대책은 물론 개학 이후에 대비한 세밀한 방역 지침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