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2018년 농가소득 ‘효자 품목’ 딸기·오이·장미

입력 : 2019-09-23 01:00:00 수정 : 2019-09-22 21:08:19

인쇄 메일 url 공유 - +

농진청, 농산물 52개 현황 조사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농가소득이 가장 높은 품목은 딸기(시설재배)와 포도(노지재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딸기는 10a(1000㎡)당 평균 1173만원, 포도는 492만원의 소득을 올렸다. 농촌진흥청은 22일 이 같은 내용의 ‘2018년산 농산물 품목별 소득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농산물 52품목(쌀, 콩, 축산물 등 제외)을 재배하는 전국 5300농가의 지난해 품목별 평균 소득을 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과수·화훼 재배농가는 전년대비 소득이 증가했고, 식량작물·시설재배는 소폭 증가, 노지채소는 소폭 감소했다. 10a당 소득이 가장 높은 품목은 시설작물의 경우 딸기(1173만원), 촉성오이(1165만원), 장미(1050만원) 등의 순이었다.

노지작물 중에서는 포도(492만원), 블루베리(402만원), 배(354만원), 복숭아(346만원) 등의 순이었다. 한때 소득 작물로 주목받았던 파프리카와 촉성토마토의 소득은 지난해 각각 946만원, 757만원으로 소득률(총수입에서 경영비 제외)이 26.0%, 37.6%에 그쳤다.

 

노동시간당 소득 면에서는 노지채소 및 식량작물이 경쟁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 1시간당 소득이 높은 품목은 고랭지무(4만7000원)와 시설포도(3만8000원), 고랭지배추(3만3000원), 쌀보리(3만1000원), 가을배추(2만8000) 등의 순이었다. 2017년과 비교해 소득이 증가한 품목은 27개이고, 감소 품목은 21개로 분석됐다. 특히 소득이 50% 이상 크게 증가한 품목은 시설고추(59.2%), 고랭지무(53.0%), 포도(51.7%)였다.

 

농진청 관계자는 “지난해는 기상악화로 농업 경영 여건이 어려웠으나 농가들의 선제적 대응으로 전년대비 소득 증가 품목이 많았다”며 “합리적 영농설계와 경영으로 품질과 수량 관리, 출하처 발굴, 상품화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송민섭 기자 sts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