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火車' 논란 BMW 9만여대 리콜 불응… 여전히 주행중

입력 : 2019-06-03 19:50:04 수정 : 2019-06-03 19:50:04

인쇄 메일 url 공유 - +

추가 화재 우려 목소리 높아 / 조속한 조치 필요한 흡기다기관 / 차주에 적극적 협조 요청해도 / 전체 대상 절반이 점검 안 받아 / 정부 “본격 더위 오기 전 끝내야”

지난해 잇단 화재로 ‘불차’ 논란을 지폈던 BMW의 해당 차종 중 상당수가 아직 관련 부품을 점검·교체하지 않아 여름 혹서기를 앞두고 추가 화재 사고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와 BMW는 해당 차량 소유주에게 거듭 리콜(시정조치)에 협조해줄 것을 당부하고 있지만, 이에 응하지 않는 이들을 상대로 강제 조치를 할 수 없어 수만대 차량이 도로 위를 달리는 형편이다.

3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기준 리콜 대상인 BMW 차량은 520d, 320d 등 70여개 차종의 총 17만2000여대다. 이들 차량은 엔진 배기가스 재순환장치인 EGR모듈을 교체하고 흡기다기관은 냉각수 유출로 찌꺼기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점검한 뒤 새 부품으로 교체해야 한다.

지난해 8월 시작된 EGR모듈 교체는 완료율이 93%(16만여대)에 달하지만, 흡기다기관은 절반을 겨우 넘는 53.6%(9만2000여대) 수준이다. 차량 대수로는 EGR모듈 미교체 차량이 1만2000여대, 흡기다기관 미교체는 8만여대에 이르는 것이다. 국토부는 리콜 이후 화재가 발생한 15건을 분석한 결과 흡기다기관 미교체가 원인인 경우가 많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발화지점으로 지목된 흡기다기관을 교체하지 않고 EGR모듈만 교체한 차량에서 화재 발생 가능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며 “오염된 흡기다기관은 조속한 리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BMW는 올 1월부터 흡기다기관 점검과 교체를 시행 중이다.

물론 BMW 차량 화재가 폭염과 객관적 관련이 있는지는 드러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해 유례없는 폭염이 기승을 부리면서 화재가 잇따라 발생했고 날이 선선해진 이후로는 사고가 급감해 기온이 원인 중 하나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토부도 지난달 “혹서기 전까지 EGR모듈과 흡기다기관의 교체가 모두 마무리되도록 BMW사를 독려하고 있다”며 “리콜 대상 BMW 소유주에게도 적극적으로 협조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 정부와 BMW는 해당 차량 소유주에게 거듭해 통지문과 전화 안내를 시행하는 한편 직장인들을 위해 평일·토요일 서비스센터 연장근무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안내 수준의 ‘권고’로는 완료율을 크게 높이기 어려울 전망이다. 우선 작년에 내려졌던 운행정지 명령을 발동할 명분이 없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관련 화재사고가 없는데 국민 권익에 제한을 가하는 긴급명령을 발동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혹여 작년 같은 사고가 재발한들 현실적 제한이 있다. 자동차관리법 37조에 따르면 리콜대상 차주가 점검명령을 받으면 즉시 긴급안전진단을 받아야 하고, 해당 차량은 안전진단을 위한 목적 이외에는 운행이 제한된다. 하지만 이를 어기고 운행하다 적발된들 경찰은 계도 이상 조치를 하기 어렵다. 이후 미진단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해당 차주는 법적책임을 지게 돼 있지만 이 역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역대 리콜 사례에서 이번 BMW 사건은 단기간에 높은 이행률을 기록해 모범적 리콜이란 평가까지 나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제때 리콜에 응하지 않다가 사고가 나면 본인들 안전부터 문제가 되는 만큼 차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김선영 기자 00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