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스타트업 초기 투자금 규모가 작고, 투자금 회수도 어려워 스타트업 생태계가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일 미국 스타트업 분석기관인 스타트업게놈(Startup Genome)이 지난달 발표한 '스타트업 생태계 보고서' 등을 인용해 서울의 스타트업 초기 투자금은 글로벌 평균의 3분의 1에 그친다고 밝혔는데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벤처투자 금액은 3조4239억원으로, 글로벌 벤처캐피탈 투자금액 2540억 달러(한화 약 300조원)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韓 스타트업 초기 투자금 규모 작고 회수 어려워
특히 서울의 초기 단계 기술기반 스타트업당 평균 투자금은 10만7000달러(약 1억2700억원)로, 글로벌 평균 투자액 28만4000달러의 3분의 1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스타트업을 육성하는 글로벌 도시의 평균 투자총액은 8억3700만 달러로, 서울(8500만달러)의 약 10배 수준입니다.
서울은 '초기 투자금 성장 지표' 부문에서 10점 만점에 1점을 받아 사업 초기에 시장을 선점해야 할 국내 스타트업이 시작부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국내 스타트업이 인수·합병(M&A)을 통한 투자금 회수는 글로벌 시장의 0.1%도 안 되는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M&A를 통한 국내 벤처투자 회수금액은 670억원에 그쳤지만, 글로벌 스타트업의 총 회수금액은 2190억달러(약 260조원)에 이르고 있는데요.
지난해 M&A로 투자금 회수에 성공한 한국 벤처기업은 25개사로, 같은 방식으로 회수를 진행한 글로벌 벤처기업 4229개사의 0.006% 수준입니다.
◆"M&A 활성화 등 더 많은 투자 이뤄질 수 있는 환경 조성해야"
보고서는 한국의 '투자금 회수 성장 지표' 부문에서 10점 만점에 4점으로 평가했습니다.
스타트업 게놈은 격년으로 발표하는 이 보고서에서 스타트업 생태계가 잘 구축된 도시 상위 20곳을 선정했는데, 서울은 조사가 시작된 2012년 이후 한 차례도 이 순위에 들지 못했습니다.
전경련은 "스타트업 생태계가 커지려면 스타트업은 초기 투자금을 원활하게 유치하고, 투자자들은 쉽게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선순환이 중요하다"며 "M&A 활성화 등 더 많은 투자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