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부동산 신탁회사의 순이익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한 것으로 집계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부동산 신탁회사 11곳의 순이익은 전년보다 30억원(0.6%) 증가한 5077억원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밝혔다.
이로써 2015년 이후 4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갈아치웠다.
다만 2017년에는 순이익이 전년보다 1128억원(28.7%) 늘어난 점에 비춰보면 증가세는 크게 둔화했다.
11곳 모두 최소 200억원 이상의 흑자를 냈다.
영업수익은 모두 1조2184억원으로 전년보다 18.3% 늘었다.
영업수익의 63.8%는 신탁 보수(7773억원)에서 비롯됐는데, 특히 차입형 토지 신탁의 보수가 4434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관리형 토지 신탁의 보수도 1841억원으로 전년 대비 52.8% 증가했다.
영업 비용은 5380억원으로 1782억원(49.5%) 증가했다. 판매·관리비가 3350억원으로 16.2% 늘었는데, 이는 주로 임직원 수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말 현재 부동산 신탁회사의 임직원은 모두 1957명으로 1년 전보다 244명 늘었다.
총 자산은 4조7106억원으로 19.5% 증가했고, 총 부채는 2조300억원으로 27.1% 늘었다.
부채 증가는 미상환 사채(2749억원)와 은행 차입금(1790억원) 증가에 따른 것이다.
자기자본은 2조6806억원으로 14.4% 늘었고, 신탁계정 대여금은 3조2246억원으로 32.9% 증가했다.
영업용순자본비율(NCR)은 856%로 1년 전보다 30.0%포인트 상승했다.
11곳 모두 필요 유지 자기자본 요건인 70억원을 충족했고, 적기 시정 조치 기준(NCR 150%)을 크게 웃돌았다.
전체 부동산 신탁사의 수탁고는 사상 최고인 206조8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금감원 측은 “부동산 경기에 민감한 신탁계정 대여금의 자산 건전성 변화를 제때 감지할 수 있도록 자산 건전성 분류 기준과 NCR 산정 방식을 개선하는 방안을 금융위원회와 함께 추진 중”이라고 설명했다.
김경호 기자 stillcu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