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달 동안 되레 379명 더 늘어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은 지난해 10월 고용노동부 국감에서 현대차 촉탁계약직 문제를 지적했다. 당시 설 의원은 “현대차 6만5000명 중 8월 말 기준 2681명”이라며 “촉탁계약직을 줄이는 방법을 서면으로 제출하라”고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요구했다. 당시 국회 속기록을 보면 이 장관은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지만, 노동부는 4개월간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노동부는 현장에서 근로감독을 시행해야 하지만 오히려 현대차 입장만 두둔한 게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노동부는 설 의원의 지적에 “사측을 통해 촉탁계약직의 근로실태를 파악 중”이라고 답했다. 지난 넉 달간 현대차 전무 및 노동조합 관계자는 만났지만 정작 당사자인 촉탁계약직 노동자들은 단 한 차례도 만나지 않았다. 촉탁계약직은 노조가입도 안 돼 기존 정규직 노조들에게도 차별받는 신세다. 노동부는 이달까지 실태조사를 다시 벌이겠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노동부에 “점진적으로 촉탁직 사용을 축소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장은 나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노동부가 설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현대차 촉탁직 현황은 3060명이다. 지난해 9∼12월 계약만료된 촉탁계약직은 705명인데, 같은 기간 같은 직으로 채용된 근로자는 1123명으로 되레 늘었다. 설 의원은 “현대차가 상시 힘든 업무에 연이어 촉탁계약직을 사용하면서도 2012년 이후 현재까지 1만5000여명의 촉탁계약직 중 단 한 명도 정규직으로 전환시키지 않은 것은 문제”라며 “노동부는 촉탁계약직 사용 실태를 직접 파악하고 촉탁계약직도 정규직으로 일할 기회가 주어지도록 지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최형창 기자 calli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